사회

“정부 전산 서비스 70개 마비”…대전 국가정보자원관리원 화재 여파

이도윤 기자
입력

대전 국가정보자원관리원 전산실에서 리튬이온 배터리 폭발로 인한 화재가 발생하며 정부 전산서비스 70여 개가 대규모로 마비됐다. 피해는 국민신문고와 모바일 신분증 등 핵심 행정 서비스를 비롯해 정부24, 정부 부처 홈페이지 등 1급 12개, 2급 58개 시스템에까지 확산됐다.

 

26일 오후 8시 20분경 대전 유성구 화암동 국가정보자원관리원 5층 전산실에서 화재가 발생했다. 소방 당국에 따르면, 화재는 직원들이 UPS용 리튬이온 배터리(총 192개)의 교체 작업을 위해 전원을 차단하던 도중 폭발이 일어난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 이 사고로 업체 직원 1명이 얼굴과 팔에 1도 화상을 입어 치료를 받았다. LG에너지솔루션이 해당 배터리의 제조 업체다.

연합뉴스
연합뉴스

소방청은 즉시 “현재 119 신고는 전화로만 가능하고, 문자·영상 신고는 전산 장애로 불가하니 조치 전까지 전화 신고를 바란다”는 긴급 안내 문자를 전국에 발송했다. 이어 행정안전부도 “국가정보자원관리원 화재로 국민신문고 등 전산망 장애가 발생, 행정 서비스 이용이 제한된다”는 재난 문자를 전했다. 전산 서비스 장애로 각종 행정 민원 및 온라인 공공서비스 이용이 제한되면서 국민적 불편이 불가피하게 됐다.

 

현장에서는 “휴대전화로 신분증을 못 꺼내거나, 정부 민원 사이트 접근이 되지 않는다”는 이용자 불만이 잇따랐다. 정부24, 국민신문고 등 일상적 행정 행위가 온라인에서 중단되면서 민원 처리 체계의 디지털 의존도가 다시 주목받고 있다.

 

현재 국가정보자원관리원 화재는 약 10시간 만에 초진됐으나, 전산 통신망 정상화까지는 상당한 시일이 소요될 것으로 예측된다. 행정안전부와 기획재정부 등 관계 부처는 비상 복구팀을 구성하고, 자료 손실 및 시스템 복구 작업에 돌입했다. 동시에 경찰과 소방 당국은 정확한 화재 발생 원인 조사와 추가 안전 대책 마련에 들어갔다.

 

이번 사태로 공공 인프라의 전산 집중 관리체계와 리튬이온배터리 등 주요 장비 안전성이 다시 도마 위에 올랐다. 전문가들은 “한 곳의 장애가 전국적 서비스 중단으로 연결되는 구조적 위험이 확인된 셈”이라며 관리 체계 재점검과 비상 백업 시스템 도입을 촉구했다.

 

전산망 복구와 사고 원인 규명이 동시에 이뤄지는 가운데, 정부의 빠른 조치와 재발 방지 대책 마련 필요성이 거듭 강조되고 있다. 경찰과 소방당국은 정확한 사고 경위를 계속해서 조사하고 있다.

이도윤 기자
share-band
밴드
URL복사
#국가정보자원관리원#화재#전산장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