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VIP 격노 회의 핵심 참석자 조사”…특검, 왕윤종·이충면 수사 확대
정치

“VIP 격노 회의 핵심 참석자 조사”…특검, 왕윤종·이충면 수사 확대

오태희 기자
입력

채상병 사건 수사방해 논란이 특검 수사로 번지면서, VIP 격노설의 정점에 있던 핵심 인물들에 대한 조사가 공식화됐다. 순직 해병특검팀이 왕윤종 전 국가안보실 3차장과 이충면 전 외교비서관을 이번주 내 조사하겠다고 14일 밝혔다. 대통령실 중심부 인물들이 ‘윤석열 전 대통령 격노설’ 의혹의 실체 마지막 고리에 올라선 셈이다.

 

정민영 특검보는 이날 브리핑에서 “특검은 2023년 7월 31일 수석비서관회의에 참석했던 김태효 전 안보실 1차장을 지난 11일 피의자 신분으로 조사했다. 이어 이번주엔 이 회의 참석자들에 대한 조사를 이어간다”고 설명했다. 정 특검보는 “김 전 차장의 진술을 토대로 당시 보고가 어떻게 이뤄졌는지, 윤석열 전 대통령의 직접 지시 여부를 규명하겠다”고 강조했다.

이날 오후 특검팀은 이충면 전 외교비서관을 참고인 신분으로 소환해 회의 당시 상황과 보고 경위를 조사할 계획이다. 왕윤종 전 안보실 3차장 역시 이번주 내 소환해 VIP 격노 회의 전후 실제 경위를 집중적으로 파악한다는 입장이다.

 

문제의 ‘VIP 격노설’은 윤석열 전 대통령이 지난해 7월 31일 오전 11시 대통령실 수석비서관회의에서 채상병 사건에 대한 보고를 받은 뒤, 격앙된 반응을 보였다는 의혹이다. 특히 이 자리 직후 이종섭 당시 국방부 장관을 질책하며 경찰 이첩을 중지시키고, 조사 결과를 변경하도록 지시했다는 논란이 이어졌다. 핵심 참석자 진술이 쏠리는 대목이다.

 

앞서 김태효 전 1차장은 11일 특검 조사에서 “윤 전 대통령이 임기훈 전 대통령실 국방비서관으로부터 A4 한 장 분량의 채상병 사망사고를 보고받은 뒤, 언성을 높이며 화를 냈다”는 취지로 진술해 사실상 VIP 격노설에 힘을 실었다. 이를 바탕으로 특검팀은 해당 보고·지시의 정확한 다리와 전달 과정을 집중적으로 추적할 방침이다.

 

정치권에서는 대통령실 최고위 보좌진과 외교안보 핵심 라인 인사들의 연속 소환에 따라, 이번 특검 수사가 새로운 전환점을 맞았다는 신호로 평가하는 목소리가 나온다. 여야는 ‘정치적 책임’과 ‘사건 은폐 지시’ 여부를 두고 입장차를 벌이고 있다.

 

이날 국회는 특검의 추가 소환 방침을 주목하며, 채상병 사건 수사 방해 의혹의 실체 규명에 대한 목소리를 높였다. 특검팀은 왕윤종, 이충면 조사 이후 핵심 관련자 추가 소환 여부를 검토할 계획이다.

오태희 기자
share-band
밴드
URL복사
#특검#윤석열#왕윤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