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주주환원 강화가 관건”…한투증권, 소극적 정책이 코리아 디스카운트 불러
경제

“주주환원 강화가 관건”…한투증권, 소극적 정책이 코리아 디스카운트 불러

신채원 기자
입력

한국증시 저평가(코리아 디스카운트) 해소를 위해선 배당 및 자사주 소각 등 주주환원 정책 강화가 필수라는 분석이 제기됐다. 21일 한국투자증권은 현저히 낮은 국내 증시 밸류에이션의 원인으로 소극적인 주주환원 정책을 지적하며, 이를 개선할 때 증시 전체의 경쟁력이 높아질 것이라는 전망을 내놨다.

 

한국투자증권 염동찬 연구원은 정부의 밸류업 프로그램, 최근 상법 개정 및 배당 개선 정책 등 다양한 정책적 노력이 모두 국내 증시 저평가 현상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고 강조했다. 그는 “한국 증시의 저평가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배당성향 확대, 자사주 소각 등 실질적 주주환원 확대가 불가피하다”며 “배당성향 개선은 PER 상승, 자사주 소각은 ROE 개선을 통한 PBR 상승 효과로 연결된다”고 설명했다.

한투증권 "주주환원 강화 시 밸류에이션 개선…코리아 디스카운트 해소 기대"
한투증권 "주주환원 강화 시 밸류에이션 개선…코리아 디스카운트 해소 기대"

시장에서는 정부의 주주친화 정책이 실질적으로 밸류에이션 제고 방안이 될지에 주목하는 모습이다. 염 연구원은 고배당 기업, 배당성향 전환 여력이 높은 기업, 자사주 소각 추진으로 ROE 개선 여력이 있는 기업들이 정책 효과의 수혜를 볼 수 있을 것으로 내다봤다.

 

증권가 일각에서는 “밸류업 프로그램, 상법 개정 등의 정책이 진행 중이나, 기업별 실질적인 주주환원 모멘텀이 중요한 판단 기준이 되고 있다”며 “투자전략 수립 시 정책 수혜 기업 선별이 필요하다”는 입장이다.

 

한국투자증권은 “주주환원 정책 강화가 밸류에이션 개선의 핵심이 될 것”이라며 “코리아 디스카운트 해소와 증시 상승을 위해 고배당, 밸류 개선 종목에 대한 전략적 접근이 중요하다”고 밝혔다.

 

향후 정책 효과와 기업별 주주친화 행보가 증시 전반의 분위기 개선으로 이어질지 주목된다.

신채원 기자
share-band
밴드
URL복사
#한국투자증권#코리아디스카운트#주주환원정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