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가 바꾸는 미래도시”…부산, 스마트시티 박람회로 글로벌 도약
인공지능(AI)과 자율주행 로봇 등 첨단 기술이 도시의 청사진을 새로 그리고 있다. 부산시는 15일부터 17일까지 개최되는 ‘2025 월드 스마트시티 엑스포’에서 글로벌 스마트도시로의 비전을 제시한다. 국토교통부와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공동 주최하는 이 행사는 올해 9회째를 맞으며, 아시아 태평양 최대 규모로 277개 국내외 기관이 참여한다. 주요 참가자들은 지속 가능한 도시와 삶의 질 향상을 위한 혁신 해법을 논의하며, 특히 AI 중심 도시 서비스와 사회적 약자를 포용하는 ‘Next City for All’이라는 슬로건 아래 도시 미래상을 공유한다.
이번 행사에서는 아이비엠(IBM)의 폴 지코폴로스 부사장이 AI 기술을 기반으로 한 도시문제 해결 전략을 기조연설로 발표한다. UCLA 데니스 홍 교수 역시 시각장애인 운전 프로젝트를 중심으로 스마트시티의 포용적 기술 적용 사례를 소개한다. 전시관에는 부산, 평택, 천안 등 주요 도시관을 비롯해 대한항공, KT 등 기업관, 그리고 한국토지주택공사 등 공공기관관, 홍콩·UAE 등 해외관과 AI라이프체험관, 스마트+빌딩관 등 특별관이 운영된다. 부산시는 에코델타시티, 디지털트윈 시범사업, 오시리아 자율주행버스 등 그린 스마트도시 프로젝트의 개발 사례를 집중 부각한다.

특히 이번 행사에서는 모빌리티·에너지·헬스케어 등 다양한 분야의 스마트시티 신기술이 시연된다. 자율주행 로봇과 함께 35개 콘퍼런스, 해외 바이어와의 1:1 비즈니스 상담회 등 실질적 산업 연계 이벤트도 다채롭게 펼쳐진다. 산업 전문가들은 AI와 디지털 전환이 스마트시티 경쟁력의 핵심으로, 글로벌 표준과 윤리적 설계 및 관련 법제도 논의가 선행돼야 한다고 진단한다.
국내에서 열리는 이번 엑스포는 도시별 특화된 AI 솔루션과 자율주행 인프라 등 차별화된 기술 적용 현장을 국제사회에 선보인다. 모하마드 알리 알 쇼라파 UAE 자치행정교통부 의장의 축사처럼 중동·아주권 도시들과의 연계 협력도 확대될 전망이다. 미국·유럽에서는 이미 AI 대도시 플랫폼이 상용화 단계에 진입했으며, 국내 역시 규제 특구를 통한 실증사업이 점진적으로 확산 중이다.
최근 정부는 스마트시티 표준화, 데이터 보안, 사회적 포용성 등 정책과제를 강조하며, 산업-정책-학계의 삼각 협력을 강화하고 있다. 식약처와 방통위 등은 개인정보 및 AI 활용, 원격 의료 등 스마트시티 서비스의 윤리적·규제적 기준 수립에 나섰다. 이상주 국토부 실장은 “AI 기술 혁신이 도시전환의 분기점이 될 것”이라고 밝혔으며, 정나영 부산시 미래기술전략국장도 “부산의 사례가 글로벌 스마트시티 모델의 시험대가 될 수 있다”고 강조했다.
산업계는 이번 박람회를 계기로 부산 등 국내 도시에 스마트시티 핵심 인프라가 빠르게 안착할지 주목하고 있다. AI와 자율주행이 이끄는 도시 혁신이 실질적 삶의 질 개선과 맞물리려면, 기술·윤리·제도가 균형 있게 마련돼야 한다는 평가도 나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