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귀신 씻나락 까먹는 소리”…더민주혁신회의, 트럼프 대미 투자 ‘선불’ 발언 강력 비판
트럼프 대통령의 3천500억달러 대미 투자 ‘선불’ 발언을 둘러싸고 정치적 충돌이 더욱 가열됐다. 더불어민주당 내 친명계 모임인 더민주혁신회의가 미국 정부를 강하게 규탄하며 국민주권 침해를 주장하면서, 한미 간 관세 협상과 투자 이슈가 정국의 격랑 속으로 들어섰다.
더민주혁신회의는 27일 논평을 통해 “귀신 씻나락 까먹는 소리도 정도가 있다”고 비판했다. 이어 “무도한 관세 협상으로 국민주권을 훼손하는 미국 정부를 강력하게 규탄한다”며 국제 통화 정책과 경제안보를 둘러싼 정면 충돌을 예고했다.

또한 이들은 “미국이 동맹국인 한국을 자신들의 속국처럼 착각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더불어 단일 대오로 “한국 국민의 경제주권을 지켜내겠다”고 강조했다.
특히 미국 정부가 요구하는 3천500억달러를 현금 직접 투자로 집행할 경우 외환보유고가 급격히 고갈돼 제2의 외환위기 가능성까지 언급했다. 더민주혁신회의는 “해당 투자방식은 국제통화기금(IMF)의 힘을 빌려야 하는 사태로 이어질 것”이라고 경고했다.
정부를 향해서는 “트럼프 정부의 부당한 요구를 절대 수용하지 말아야 한다”며 “미국·일본과의 무제한 통화스와프 등 경제 안전장치를 시급히 마련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앞서 이재명 대통령은 외신과의 인터뷰에서 “한미 간 통화 스와프 없이 미국 요구 방식으로 전액 현금 투자하면 한국은 1997년 금융위기 때와 같은 상황에 직면할 것”이라고 밝힌 바 있다. 이에 대해 트럼프 대통령은 25일 “한국에는 3천500억달러를 받는다, 이것은 선불”이라고 언급하며 한미 정상 간 이견이 부각됐다.
정치권에서는 미국의 투자 요구와 관세 협상을 두고 한미관계 전반에 대한 우려와 해법 논의가 이어지고 있다. 여당은 한미동맹의 기본 틀을 강조하는 반면, 야권에서는 경제주권 보장을 최우선에 두고 맞서고 있다.
국회는 대미 투자와 국제 통화 협정을 놓고 다음 회기에서 본격 논의에 착수할 전망이다. 정치권의 한미 경제현안 대처가 향후 정국 방향을 좌우할 것이라는 평가가 나오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