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북한, 한국군 경고사격 도발 규정”…남북 군사 긴장 격화 경고
정치

“북한, 한국군 경고사격 도발 규정”…남북 군사 긴장 격화 경고

김서준 기자
입력

남북 군사분계선(MDL) 일대 경계선에서 한국군과 북한군 간 충돌 우려가 고조되고 있다. 북한군이 자국 군인에 대한 한국군의 경고사격을 "계획적 도발"로 규정하면서 공개적으로 맞대응을 시사한 데 따른 것이다. 접경지 평화를 둘러싼 긴장감이 한층 높아진 셈이다.

 

북한군 총참모부 부총참모장인 고정철 육군 중장(별 2개)은 8월 23일 조선중앙통신을 통해 남부 국경 일대에서 일어난 한국군의 경고사격을 강력히 비판했다. 고정철 중장은 "8월 19일 한국군 호전광들이 남쪽 국경선 부근에서 차단물 영구화 공사를 진행하고 있는 우리 군인들에게 12.7㎜ 대구경 기관총으로 10여 발의 경고사격을 가하는 엄중한 도발 행위를 감행했다"고 주장했다.

이어 고정철 중장은 “우리 군대는 정상적인 국경 강화 사업의 일환으로 남부 국경을 영구적으로 봉쇄하기 위한 차단물 공사를 진행하고 있다”며, 해당 조치가 군사적으로도 예민한 접경 지역의 긴장 해소에 부합한다고 강조했다. 또한 “확성기 도발 방송이 점차 한국군 여러 부대에 확대되고 있으며, 이젠 '사격하겠다'는 위협적 망발이 일상화되고 있다”고 불만을 토로했다.

 

특히 고 부총참모장은 한미연합 ‘을지 자유의 방패(UFS)’ 연습 기간 중 경고사격이 일어났음을 지적하며, “군사적 성격과 무관한 공사를 구속하거나 방해하는 행위가 지속될 경우, 의도적 군사도발로 간주해 상응한 대응 조치를 취하겠다”고 경고했다.

 

이에 대해 합동참모본부 관계자는 “지난 19일 오후 3시경 북한군이 중부전선 군사분계선을 침범해 경고사격 등의 조치를 했고, 북한군은 북상했다”며, “군은 접적지에서 북한군의 활동을 예의주시하고 있다”고 밝혔다. 아울러 “북한군이 작년 6월과 올해 4월에도 MDL 이남을 침범해 경고사격을 받았으며, 당시에는 언론에 바로 알렸지만 이번엔 추가 긴장 고조 방지를 위해 별도 공지하지 않았다”고 설명했다.

 

이번 사태는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지난해 말 천명한 ‘적대적 두 국가론’과 맞물려 북측이 군사분계선 인근에 삼중 철책 설치와 대전차 방벽 강화 등 국경선화 작업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는 점에서 우려를 더하고 있다. 남북 간 신경전이 재차 군사 충돌로 비화할 수 있다는 우려도 제기됐다.

 

정치권과 전문가들은 남북 접경지역에서의 군사적 긴장이 행여 우발적 국지전으로 확대될 수 있다며 신중한 접근을 주문하고 있다. 정부는 향후 접경지 군사활동을 촉각을 곤두세우고 주시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김서준 기자
share-band
밴드
URL복사
#북한#합동참모본부#고정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