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T/바이오

“정부 시스템 20% 복구”…국정자원 관리원 화재 여파 장기화

신채원 기자
입력

국가정보자원관리원 대전센터 화재가 발생한 지 열흘 만에 정부 행정 시스템 복구율이 20.7%에 이르렀다. 공공 인증과 메일, 행정포털 등 주요 전자정부 서비스의 상대적 정상화에도 불구하고, 전체 시스템 복구가 예상보다 더딘 것으로 나타나 미래 공공 IT 인프라의 안정성 논의가 이어지고 있다. 업계는 이번 사태를 ‘공공 디지털 전환 신뢰성’의 분기점으로 본다.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에 따르면 5일 오후 6시 기준, 화재로 인해 중단됐던 647개 정부 전산 시스템 중 134개가 복구됐다. 1등급 핵심 행정 시스템은 36개 중 22개(61.1%)만이 복구됐으며, 정부청사관리본부 홈페이지와 통합개방관리시스템, 모바일 공무원증의 인증 서비스 등 주요 서비스가 단계적으로 재개됐다. 다만, 조직도 조회와 일부 온메일(공공기관 전자우편) 서비스는 여전히 중단된 상태다.

이번 복구 과정은 대구센터 민관협력 클라우드존으로 피해 정보시스템 96개를 이전하는 등, 기존 온프레미스(물리적 자체 서버) 중심 행정 인프라에서 클라우드 기반 대응이 가속화되는 것이 특징이다. 이에 따라 재해·장애 장애 복원력을 높이기 위한 백업 시스템, 멀티센터 분산 저장 등 기술적 대책이 실효성 있게 적용되고 있다.

 

이와 함께 정부는 장기화되는 복구 대응 체계로 인해, 불필요한 회의를 축소하고 현장 실무 인력 투입을 확대해 공무원 업무부담 완화 조치를 시작했다. 이는 대규모 IT 재해 복구가 단순한 기술 복구를 넘어, 조직 운영방식 전반의 혁신 과제로 부상하고 있음을 시사한다.

 

글로벌 주요국의 경우, 행정 IT시스템의 클라우드 이중화와 DR(재해복구) 프로세스가 법제화돼 있어 가동 중단 사태에 대응하는 속도와 범위에서 차별화된 모습을 보이고 있다. 국내에서도 이번 장애 계기를 기반으로, 고난도 국가인증·전자행정 서비스의 서비스 연속성 기준 상향 논의가 불가피해질 전망이다.

 

전문가들은 “국가 디지털 인프라의 장애 복구력 및 신속성 여부가 앞으로 공공 IT 신뢰도와 국내 디지털 전환 정책의 분수령이 될 것”이라고 분석했다. 산업계는 향후 복구 작업의 속도와 범위가 실제 시장과 행정 시스템 전환에 미칠 영향을 예의주시하고 있다.

신채원 기자
share-band
밴드
URL복사
#국가정보자원관리원#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클라우드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