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일업종과 다른 흐름”…한화오션, 시총 15위 속 주가 0.09% 하락
조선업계가 최근 주가 변동성과 실적 지표 간 온도차로 주목받고 있다. 한화오션이 10월 13일 장중 거래에서 잠정 약세를 보인 가운데, 주요 지표 역시 기존 업종 흐름과 상반된 모습을 나타내고 있다. PER, 시가총액 등 수치도 주요 동향과 차별성을 보이며, 투자자 사이에서 해석이 엇갈리고 있다.
13일 오전 9시 28분 기준 네이버페이 증권에 따르면, 한화오션(구 대우조선해양)은 109,200원에 거래돼 전일 종가(109,300원) 대비 100원(0.09%)가량 하락했다. 시가 108,000원으로 출발한 뒤, 107,700~113,000원 범위에서 등락을 반복했다. 이 시간까지의 변동폭은 5,300원, 거래량은 64만 7,786주, 거래대금은 718억 5,900만 원을 기록했다.

업계 내에서 한화오션은 코스피 시장 시가총액 33조 4,603억 원으로 15위를 유지 중이다. 투자수익지표인 주가수익비율(PER)이 38.52배를 나타내 동일업종 평균(36.66배)보다 다소 높다는 점이 특징이다. 그러나 같은 시간 조선장비·부품 등 업종지수가 0.33% 오르며 강세를 보인 것과 달리, 한화오션은 하락 양상을 이어가고 있어 업계 안팎의 해석이 엇갈리고 있다. 외국인 투자자 소진율 역시 12.21%로, 시장 내 투자 주체별 동향에도 관심이 쏠린다.
업계에서는 실적 개선 기대를 견인하는 신조선 수주 증가와 함게, 글로벌 공급망·원자재 가격 변동, 환율 등 대외 변수에 따른 수익성 변동성 확대를 지적한다. 최근 동종 대형 조선사와의 수주 경쟁, 친환경 선박 및 R&D 투자 비중, 금융비용 부담 등이 주가 형성에 영향을 미친다는 분석도 나온다.
정부와 코스피 시장 관계자들은 대형조선사의 실적 턴어라운드, 선박 수주 환경 변화에 주목하며, 조선산업 혁신 및 친환경 전환 지원정책을 지속 강화하는 분위기다. “한 조선 산업 전문가는 ‘PER 등 수익성 지표가 시장 기대와 엇갈릴 시, 단기·중기 리스크 요인이 상존할 수 있다’고 진단했다.” 국내외 경기 변동과 산업구조 변화, 투자자 입장 온도차가 한동안 주가에 영향을 줄 전망이다.
전문가들은 한화오션의 이날 주가 흐름이 업종 평균과 차별화된 반응을 보인 데 주목하며, 향후 기업 신용도·수익성 개선과 정책 뒷받침 여부가 지속 관건이 될 것으로 보고 있다. 정책과 시장의 속도 차를 어떻게 좁힐지가 관건이 될 전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