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존 노출, 장기이식 환자 생존률 흔든다”…국내 연구팀 세계 첫 장기 영향 규명
오존 농도가 장기이식 환자의 생존율을 크게 좌우한다는 국내 연구진의 대규모 조사 결과가 발표됐다. 서울대학교병원운영 서울특별시보라매병원, 서울대학교병원, 서울아산병원 공동 연구팀은 21일, 오존(O₃) 등 대기오염이 신장이식 환자에게 장기적으로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성과를 공개했다. 기존 단기 노출 중심의 연구와 달리, 이번 결과는 ‘장기 오존 노출’이 실제 환자의 사망률과 이식 장기(이식신) 기능 저하 위험을 직접적으로 높인다는 사실을 세계 최초로 입증한 것으로 평가된다.
연구진은 2002년부터 2020년까지 18년간 국내 주요 3대 병원에서 신장이식을 받은 성인 4796명의 의료·거주지 데이터를 머신러닝 기반 고해상도 대기오염 예측 모델에 적용했다. 해당 모델은 1㎢ 단위 공간해상도, 예측 설명력(R²=0.964)을 갖췄으며, 각 환자별 연평균 오존과 미세먼지(PM₂.₅) 농도를 산출했다. 분석 결과, 연평균 오존 농도가 5ppb 증가하면 모든 원인 사망 위험이 65%, 이식 장기 기능상실(DCGF) 위험은 60%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오존 35ppb 이상 구간부터는 위험 증가가 뚜렷해지고, 40ppb를 넘어서면 사망률이 급격히 상승한다는 경향도 확인됐다.

이번 연구의 강점은 지역사회 요인, 미세먼지·기온 등 복합 변수와 이식 환자의 임상 지표(eGFR, Hb)까지 모두 통계적으로 보정해 높은 신뢰도를 확보했다는 점이다. 신장이식 환자군 외 다른 장기이식 환자, 만성질환 취약층에서도 오존 영향 확인 가능성이 제기된다.
국내 대기오염 모델링 효율과 임상 코호트의 융합은 세계적으로도 선도적 사례로 평가받는다. 미국, 유럽에서는 미세먼지나 탄소질소 화합물 연구가 진행중이나 오존의 장기 노출이 이식 환자 생존에 미치는 관찰연구는 이번이 처음이다. 이에 대해 한승현 일산백병원 교수는 “오존 농도 증가가 기온 상승, 도시화에 따라 가속화되는 점에서 면역억제 환자의 환경건강 위험 관리는 필수”라고 밝혔다.
한편 식약처와 질병관리청 등 보건당국은 대기질 개선, 고위험군 건강관리를 협업 과제로 제시해왔으나, 오존 기준 강화나 환자 맞춤 교차감시제도 등 세부 정책 실행은 아직 초기 단계로 남아 있다.
전문가들은 “기후변화와 환경오염이 의료 취약계층의 생존예후까지 직접 좌우하는 현실이 드러났다”며 “병원 차원 맞춤형 건강관리, 정부 주도의 오존 감축 정책, 취약 환자용 조기경보 시스템 등 다각적 개입이 시급하다”고 지적했다.
산업계는 이번 결과가 환경-헬스케어 융합 연구, 임상 빅데이터 기반 정책 개발의 분기점이 될지 주목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