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머리 움직임에 따라 어지럼증”…이석증, 비수술 치료로 개선 주목
머리 자세만 바꿔도 갑자기 발생하는 심한 어지럼증, 소위 '이석증'이라 불리는 양성돌발성두위현훈증(BPPV)이 노년층과 폐경 여성 사이에서 두드러지고 있다. 귀 속 전정기관의 이석(탄산칼슘결정체)이 제자리를 이탈해 움직이면서 강한 회전성 어지럼증을 유발하는 것인데, 일상생활 중 특히 눕거나 일어날 때, 고개를 돌릴 때 증상이 두드러진다. 이석증은 신경과 외래 방문 사유 중 대표적인 질환으로, 최근 비수술적 치료법인 ‘이석정복술’의 임상적 효과에 정보통신 융합 헬스케어 업계도 주목하고 있다.
이석은 평소 머리 움직임에 따라 중력 감각을 전달하는 미세한 조직으로, 새롭게 생기는 것이 아니라 원래 존재하던 돌이 위치를 벗어나면서 문제가 발생한다. 주로 60대 이상, 폐경 뒤 골다공증이나 비타민D 결핍이 심한 여성에서 이석의 안정성이 약해지고, 그 결과 반복적 자세 변화나 장기간 누워 지내는 습관이 재발 요인으로 작용한다. 강렬하긴 하지만 1분 이내로 짧게 지나가는 회전성 어지럼증이 특징이다.

진단을 위해서는 이석이 어떤 세반고리관에 들어갔는지 신경과적 평가와 안구 움직임 분석이 필요하다. 치료는 대표적으로 ‘이석정복술’이 적용된다. 이는 떨어진 이석을 머리·몸의 특정 순서대로 움직여 중력 방향을 이용해 원래 자리인 난형낭으로 되돌리는 비수술적 처치법이다. 에플리(Epley) 술식이 국내외에서 표준적으로 활용되고 있으며, 시술 후 재발을 막기 위해 머리 움직임에 주의해야 한다.
그러나 후반고리관형 이외의 수평반고리관형은 치료가 더 어렵고, 이석이 감각수용기 막에 달라붙는 경우도 드물지 않다. 3회 이내의 표준 이석정복술에도 반응 없거나 연 3회 이상 재발 시엔 난치성으로 분류된다. 두부외상 이후 발생한 이석증도 재발·만성화 가능성이 높다. 권경현 세란병원 신경과 과장은 “이석정복술에 잘 반응하지 않는 경우 중추 신경계 질환이나 다발성 반고리관 이석 등 감별 진단이 필수”라고 강조했다.
이석증은 의료진이 위치와 형태를 정확히 파악하면 빠른 회복이 가능하나, 조기 치료가 늦어지면 이석이 복잡한 위치로 옮겨가거나 응집돼 난치성으로 발전할 수 있다. 갑작스럽고 강한 어지럼증과 더불어 구역, 구토 증상이 동반된다면 즉시 신경과를 찾아 진단·치료를 받아야 한다.
산업계에서는 디지털 진단·트래킹 시스템, 인공지능 기반 안구운동 분석 등 IT 융합 솔루션을 개발해 진단 효율성과 환자 맞춤 치료 정확도를 높이는 연구도 이어지고 있다. 전문가들은 앞으로 고령화와 만성질환 증가에 따라 관련 디지털 헬스케어·바이오 솔루션 시장이 더욱 확장될 것으로 보고 있다. 산업계는 이번 기술이 실제 시장에 안착할 수 있을지 주시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