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준 독립성 흔들려선 안 된다”…미국 은행 CEO, 트럼프 해임 압박에 경고
현지 시각 16일, 미국(USA) 월가의 대표 대형은행 최고경영자(CEO)들이 연방준비제도(Fed·연준) 독립성을 촉구하는 공식 입장을 밝혔다.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제롬 파월 연준 의장에 대한 해임 가능성을 시사하며 금리 인하 압박을 노골화하는 가운데, 금융 시장의 긴장이 고조되는 모양새다. 이번 발언은 전 세계 금융 질서에 직접적인 파장을 미칠 수 있는 사안으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금융계에 따르면 데이비드 솔로몬 골드만삭스 CEO, 브라이언 모이니한 뱅크오브아메리카(BofA) CEO, 제인 프레이저 시티그룹 CEO 등 미국 4대 은행 수장들은 연준 독립성이 자본시장 신뢰와 미국 경쟁력 유지를 위한 핵심적 요소라고 강조했다. 솔로몬 CEO는 한 인터뷰에서 “중앙은행의 독립성은 글로벌 경제 안정에 긍정적인 효과를 가져왔다. 연준의 자율성이 반드시 보장돼야 한다”고 밝혔다. 프레이저 시티그룹 CEO도 별도 성명을 통해 독립성 약화가 자본시장 신뢰 손상으로 이어질 수 있다고 경고했다. 모이니한 BofA CEO는 만약 대통령이 의장을 조기에 교체한다면 금융시장 불안이 불가피하다고 지적했다. 하루 전 제이미 다이먼 JP모건체이스 회장 또한 중앙은행 독립성 손상이 예상치 못한 부정적 결과로 연결될 것이라고 우려를 표했다.

이번 연준 독립성 논란은 트럼프 대통령이 금리 인하를 직접 요구하며 파월 의장 해임 카드를 언급한 데서 출발했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은 이례적으로 월가 경영진이 공개적으로 대응에 나선 점을 조명하며, 대통령의 개입이 심화될 경우 달러화 및 미국 국채 신뢰에 악영향을 줄 수 있다고 분석했다. 실제로 월가 일각에서는 연준 독립성이 흔들리면 미국에 대한 글로벌 자본 신뢰에 금이 갈 수 있다는 위기감이 감지되고 있다.
당사자인 파월 연준 의장은 최근 본부 건물 보수공사 예산 집행 논란에도 휘말렸다. 빌 풀티 연방주택금융청(FHFA) 청장은 연방 의회가 해당 건 관련 조사를 진행할 것으로 확신한다고 말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파월 의장 해임 시사에 대해 “모든 가능성을 배제하지 않는다”며, 건물 보수 논란이 ‘사기’가 아니라면 조기 해임 확률은 낮다고 밝히면서도 여지를 남겼다.
이 같은 논란은 미국 금융시장뿐만 아니라 전 세계 증시, 환율 및 채권시장 전반에도 불확실성을 증폭시키고 있다. CNN, 뉴욕타임스 등 주요 외신은 “연준 신뢰가 흔들릴 경우 글로벌 금융 안정성도 위협받을 수 있다”고 보도했다.
전문가들은 트럼프 행정부의 연준 개입 시도와 월가 수장들의 공개 경고가 맞물리면서, 미국 및 국제 금융시장의 불확실성이 한층 커질 것으로 전망한다. 향후 트럼프 대통령의 정책 행보와 미 의회의 대응, 그리고 파월 의장의 거취가 미국은 물론 세계 경제에도 중대 영향을 줄지가 이번 사안의 관전 포인트로 지목되고 있다. 국제사회는 연준 독립성 논쟁의 귀결과 시장 반응을 면밀히 주시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