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탄핵 사과 거부가 쇄신 걸림돌”…윤희숙, 국민의힘 혁신안에 지도부 인적 청산 시사
정치

“탄핵 사과 거부가 쇄신 걸림돌”…윤희숙, 국민의힘 혁신안에 지도부 인적 청산 시사

조보라 기자
입력

탄핵을 둘러싼 책임론이 국민의힘 지도부 혁신 논의의 주요 쟁점으로 떠올랐다. 윤희숙 국민의힘 혁신위원장이 13일, 탄핵 사태에 대한 사과를 거부하는 인사들을 1순위 인적 쇄신 대상으로 지목하면서 정치권이 격랑에 휩싸였다. 이날 혁신위는 당원소환제 대폭 강화 등 조직 혁신 구상을 공식 발표했다.

 

윤희숙 혁신위원장은 7월 13일 여의도 중앙당사에서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우리가 탄핵의 바다를 건너지 못하는데 더 이상 사과와 반성할 필요가 없다고 하는 분들은 당을 죽는 길로 밀어 넣는 것"이라고 밝혔다. 이어 "탄핵의 바닷속으로 머리를 쳐들지 못하게 누르는, 이런 분들이 인적 쇄신의 0순위"라며, 책임 있는 개인의 사과와 반성을 당 혁신의 출발점으로 강조했다.

그는 "당이 여기 오기까지 잘못한 분들이 개별적으로 사과해야 한다"며, "'잘못했다', '새로워지겠다'는 사과를 해야 한다. 그것이 당 쇄신의 첫걸음"이라고 했다. 윤 위원장은 “사과는커녕 당이 새로워지겠다는 걸 가로막고 아무것도 필요 없다고 하는 분들, 전광훈 목사가 광장에 던져주는 표에 기대 정치하는 분들은 당을 떠나야 한다”고 직격했다. 이어 “(윤석열 전) 대통령은 이런 분들을 믿고 계엄을 했을 것이고, 이런 분들은 당을 떠나야 마땅하다”고 말했다.

 

이와 함께 윤 위원장은 인적 쇄신을 위한 제도적 장치로 국회의원을 포함한 모든 당 소속 선출직과 당직자를 당원소환 대상으로 명시하겠다는 방침도 밝혔다. 그는 “현행 당원소환제 요건을 대폭 완화해 혁신안에 반영했다”고 설명했다.

 

구체적으로는, 윤 위원장이 지목한 8가지 사건이 징계 및 쇄신 범위에 포함됐다. ▲대선 실패 ▲대선 후보 교체 시도 ▲대선 후보 단일화 번복 ▲계엄 직후 의원들의 대통령 관저 시위 ▲당 대표 가족 연루 문제 ▲22대 총선 비례대표 공천 원칙 무시 ▲특정인 위한 당헌·당규 개정 ▲국정운영 왜곡 방치 등이다. 그는 “이런 일들은 당원을 수치심에 빠뜨렸다. 과거의 잘못을 받아들이고 새롭게 하겠다는 인사가 쇄신 대상”이라고 말했다.

 

한편, 해당 쇄신 방향에 대한 당내 반발·우려도 상존한다. 지도부 일부와 보수진영 일각에선 당원 소환 확대와 탄핵 재평가론이 분열을 부추길 소지가 있다며 신중한 접근을 주문하는 분위기다. 그러나, 혁신위는 "사죄와 쇄신을 막는 것은 정치 생명 연장"이라며 강경 기조를 유지했다.

 

국민의힘은 내홍을 봉합하고 민심 이반을 막기 위해 인적 쇄신 추진을 공식화했으며, 혁신위 제안이 실제 공천 쇄신과 지도부 변화로 이어질지 주목된다. 당내 공감대 확산과 동시에, 향후 적용 대상 선정, 제도화 방식 등을 놓고 논란이 이어질 것으로 보인다.

조보라 기자
share-band
밴드
URL복사
#윤희숙#국민의힘#인적쇄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