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정보자원 화재 대응”…복지부, 연휴 복지 서비스 정상화 총력
국가정보자원관리원 화재로 인한 전국 복지 시스템 장애가 추석 연휴를 앞두고 신속히 복구됐다. 정은경 보건복지부 장관은 2일 위기상황대응본부 회의를 주재해 복지부 소관 행정 정보 시스템의 복구 상황과 국민 불편 최소화 방안을 집중적으로 점검했다. 이번 점검은 연휴 기간 온라인 행정 서비스 지연이나 중단으로 인한 복지 수급 공백을 막기 위한 정부 차원의 대응이다.
주요 복지 시스템인 차세대사회보장정보시스템(행복이음), 사회서비스정보시스템(희망이음), 대국민 복지포털(복지로) 등은 8월 29일 복구를 완료해 정상 운영에 들어갔다. 면허관리시스템도 9월 1일 부분 복구돼 면허 신청과 발급 업무가 재개됐으며, 국가아동학대정보시스템, 취약노인지원시스템, 보건의료 빅데이터 통합 플랫폼 등 핵심 서비스도 전면 복구됐다.

특히 복지부는 전자 바우처 시스템과 같이 아직 완전 복구되지 않은 일부 서비스에 대해 대체 수기 처리 절차를 마련해 전국 지자체 및 사회 서비스 기관에 안내했다. 바우처 결제가 불가피하게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 서비스는 우선 제공하고 비용 정산은 수기 기록을 바탕으로 장애인 활동지원사 등 종사자에게 지급하도록 조치했다. 복지부는 이와 함께 전화 콜센터 등 비대면 국민 상담·소통 창구도 상시 운영해, 국민 불편 발생 소지를 최소화하는 데 집중하고 있다.
전문가들은 복지 시스템 등 공공 인프라 IT서비스의 연속성과 신속한 복구 프로토콜의 중요성을 재확인하는 계기라 분석했다. 미국 등에서도 국가 IT 재난 대응 매뉴얼 고도화와 대체 서비스 준비는 필수 전략으로 꼽힌다. 앞으로도 핵심 정보시스템의 다중화, 데이터 백업 강화, 이상 징후 조기 감지 등 예방 체계 구축이 중요한 과제로 부상할 것으로 보인다.
정은경 장관은 “국민이 불편 없이 복지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대체 업무처리 절차 점검·보완에 힘쓰겠다”며 “시스템의 신속 정상화 방안 마련에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밝혔다. 산업계는 복지 IT 인프라의 복원력 및 유연성이 향후 공공 부문 서비스 혁신의 핵심 변수가 될지에 주목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