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미동맹에 계속 충실할 것”…美 국방부, 주한미군 감축설에 신중 대응
주한미군 감축을 둘러싼 논란이 다시 수면 위로 떠올랐다. 미국 국방부가 2일(현지시간) 열린 정례 브리핑에서 언론의 관련 질문에 대해 “한미동맹에 충실할 것”이라는 원론적 입장만을 재확인하면서, 트럼프 2기 행정부 출범에 맞춘 미군 재배치 가능성에 이목이 쏠리고 있다.
이날 워싱턴DC 인근 국방부 청사에서 진행된 브리핑에서 션 파넬 국방부 대변인은 ‘미 국방부가 주한미군 감축 계획을 마련 중이냐’는 질문을 받았다. 파넬 대변인은 "일반적으로 우리는 이 단상에서 군사 태세 검토에 대해 코멘트하지 않는다"고 말해 직접적인 답변을 피했다. 이어 "한국과는 철통같은 동맹을 맺고 있으며, 미국은 그 동맹에 계속 충실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 발언은 최근 트럼프 행정부 2기가 들어서며 다시 대두된 미군 감축설에 대해 신중한 태도를 보인 것으로 풀이된다.

그러나 감축설의 불씨는 완전히 꺼지지 않았다. 지난 5월 22일 미 일간 월스트리트저널(WSJ)이 국방부 당국자들을 인용해 ‘주한미군 약 4천500명 재배치’ 검토를 보도한 이후 관련 논의는 잠잠해지는 듯했으나, 최근 국방부가 재조정 방안을 두고 여전히 검토 중이라는 보도가 이어지고 있다. 당시 미 국방부는 이에 대해 검토 사실을 부인했지만, 구체적인 군사구성 혹은 태세 변화 여부에 대해선 말을 아끼는 기조를 유지하고 있다.
외교안보 전문가들은 “철통 동맹을 강조하면서도 군 배치에 관한 구체 언급을 일절 삼간 것은 미 행정부 내부의 기류를 보여주는 것”이라고 분석했다. 국내 정치권 역시 주한미군 감축 가능성이 외교·안보 정책 전반에 직간접 영향을 미칠 수 있다며 예의주시하는 분위기다.
다만 향후 트럼프 행정부가 어떤 선택을 할지에 따라 동북아 전략 균형에 적지 않은 파장이 예상된다. 이에 대해 국방부는 “한미동맹에 입각한 한국 방어 공약은 확고하다”는 입장을 되풀이하며 여론 진화에 나섰다.
정치권과 외교가는 미국 국방부의 신중한 태도에 맞춰, 주한미군 논의가 향후 미 대내외 전략 변화와 연동될 가능성에 촉각을 세우고 있다. 앞으로 미국 행정부의 후속 입장에 따라 한반도 정세가 다시 요동칠지 주목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