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미국, 삼성전자 지분획득 검토는 사실무근”…강유정 대통령실, 외신보도 정면 반박
정치

“미국, 삼성전자 지분획득 검토는 사실무근”…강유정 대통령실, 외신보도 정면 반박

이소민 기자
입력

미국 정부가 삼성전자 등의 지분을 확보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는 로이터통신 보도에 대해 대통령실이 “사실무근”이라며 강하게 반박했다. 한미 경제 협력 이슈를 둘러싼 긴장감 속에서, 정작 반도체 보조금 수혜 사실도 없고 관련 접촉 역시 없었다는 점을 명확히 했다.

 

강유정 대통령실 대변인은 21일 브리핑에서 “(미국 인텔사처럼) 보조금을 받은 부분에 대해 주식으로 바꾼다는 말인데, 그러나 한국 기업은 아직 보조금을 받은 곳이 없는 것으로 안다”고 밝혔다. 또 “받은 보조금을 지분화한다는 전제에 한국 기업은 포함돼 있지 않고, 삼성전자 등 기업에서도 받은 연락이 없다고 확인했다”고 강조했다.

외신이 보도한 미국 정부의 ‘지분 요구설’에 대해 강 대변인은 “협상을 앞두고 다양한 레버리지(지렛대)로 우리 측이 아닌 쪽에서 다양한 소문이 돌았던 게 아닌가 하는 짐작이 든다”며 논란 진화에 나섰다. 이어 “‘확인된 바 없다’가 아니라 ‘사실무근’이 맞는 표현”이라고 선을 그었다.

 

이보다 앞서 19일(현지시간) 로이터통신은 하워드 러트닉 미국 상무장관을 인용해, 반도체지원법에 따라 지원을 받아 미국 현지에 공장을 짓는 기업들(인텔, 대만 TSMC, 삼성전자 등)의 지분을 미국 정부가 받는 방안을 검토 중이라고 전한 바 있다. 취재진 사이에서는 미국이 인텔에 보조금을 지급하며 지분 10%를 요구하려는 계획이, 범위를 확대하는 형태라는 분석이 나왔다.

 

정치권에서도 신중한 반응이 이어지고 있다. 국내에서 반도체 보조금을 받은 기업이 아직 없고, 실제 연락도 없었다는 대통령실 해명이 전해지면서, 관련 외신 보도와 실제 협상 상황 사이에 적지 않은 괴리가 확인됐다. 전문가들은 거론된 방안의 실현 가능성에 의문을 제기한다는 분석도 나오고 있다.

 

국제 반도체 공급망을 둘러싼 미중 경쟁이 격화하는 가운데, 주요국 정부와 기업들 간 협상 구도가 더욱 복잡해질 전망이다. 정부는 향후 관련 협상 동향을 예의주시하며, 국내 기업 보호와 국가 이익 수호에 힘쓸 방침이다.

이소민 기자
share-band
밴드
URL복사
#대통령실#삼성전자#강유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