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영토 안전 보장 위협”…대통령실, 김정은 발언에 대화 촉구
한반도의 긴장이 다시 고조되는 가운데,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한국 영토가 안전한 곳이 될 수 있겠느냐”며 대남 위협을 강화하자 대통령실이 이에 정면 대응하며 대화와 협력을 거듭 촉구하고 있다.
대통령실은 5일 김정은 위원장이 최근 무장장비전시회에서 “한국 영토가 결코 안전한 곳으로 될 수 있겠는가 하는 것은 그들 스스로가 판단할 몫”이라고 밝힌 데 대해, “북한은 한반도는 물론 국제사회의 평화와 안정을 위해 대화와 협력의 길에 동참하길 바란다”는 공식 입장을 내놓았다. 대통령실은 북한의 이런 위협적 발언이 한반도 및 국제사회 안정을 저해한다고 강조하며, 책임 있는 대화에 나설 것을 촉구했다.

조선중앙통신에 따르면, 김 위원장은 지난 4일 평양에서 개막한 무장장비전시회 연설에서 “미한 핵 동맹의 급진적 진화와 핵 작전 지침에 따르는 훈련이 감행되고 있고 미국은 한국과 주변 지역에 무력 증강조치를 취하고 있다”고 주장하며, “힘의 균형을 유지하기 위한 군사 기술적 조치 실행” 가능성도 경고했다. 이 같은 발언은 남북관계는 물론 한미동맹, 동북아 안보지형에 다시 한 번 격랑을 예고했다.
정치권은 즉각 엇갈리는 반응을 내놓았다. 여권은 “안보 위협을 결코 용인할 수 없다”며 강경 대응 기조를 확인했고, 야권 일각에서는 “무력 충돌 가능성이 높아진 만큼 대화의 즉각 재개가 필요하다”고 역설했다. 전문가들 역시 “한반도 안보 위기감이 높아졌으나 군사적 위협을 통한 대응이 아니라, 실질적 대화로 안정화 국면을 모색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이후 남북관계와 대외정책의 향방은 북한의 추가 군사적 움직임, 정부의 대응 전략, 그리고 국제사회의 중재 의지에 따라 결정될 전망이다. 정부는 향후 북한의 태도 변화를 주시하면서, 각국과 협력해 한반도 안정화 방안 마련에 나설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