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FP 배터리로 생산 전환”…LG에너지솔루션·GM, 미국 현지화 전략 강화에 전기차 업계 주목
현지시각 14일 미국 테네시주 스프링힐에서 LG에너지솔루션과 제너럴모터스(GM)의 배터리 합작사 ‘얼티엄셀즈’가 리튬인산철(LFP) 배터리 대량 생산체제로의 전환을 공식 발표했다. 이번 조치는 세계 보급형 전기차 시장 확대와 가격 경쟁력 강화에 대응하는 차원으로, 글로벌 자동차 업계와 공급망 재편에 새로운 파장을 불러일으키고 있다.
얼티엄셀즈는 올해 말부터 기존 니켈·코발트·망간(NCM) 배터리 생산 라인을 저비용 LFP 전용 라인으로 전환, 2027년 말 양산을 시작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현재 이 공장에서는 NCM 기반 삼원계 양극재 배터리를 제조하고 있었으나, 최근 급변하는 전기차 시장의 흐름에 맞춰 생산 체계 변화로 나선 것이다. 한편, 오하이오주 제1공장에서는 기존처럼 NCM 기반 배터리 생산이 계속될 예정이다.

이번 생산체계 전환은 글로벌 전기차 수요 성장세 둔화와 함께 보급형 모델 위주로 가격 경쟁력이 중요해진 흐름을 반영한다. LFP 배터리는 삼원계 대비 가격이 저렴하고 일정 수준 이상의 성능을 확보해, 북미 시장 내 저가형 전기차 트렌드에 부합하는 선택지로 급부상하고 있다.
GM은 이번 조치를 통해 LFP 배터리를 자사 전기 픽업트럭에 적용할 의사를 피력하며, 북미 내 안정적 공급망 구축에 주력하고 있다. 미국(USA) 정부의 탄소중립 정책 및 인플레이션감축법에 따른 현지 생산 확대 요구도 생산 전환 배경으로 작용했다. 이에 대해 또 다른 주요 경쟁사들도 LFP 배터리 자체 생산 및 조달을 위한 행보를 가속화하는 등 업계 전반에 영향이 확산되고 있다.
미국 CNBC 등 주요 외신은 “LG에너지솔루션과 GM의 결정이 북미 배터리·전기차 시장 판도에 중대한 변곡점”이라며, “LFP 기술이 장기적으로 가격 경쟁력의 요체가 될 것”이라고 분석했다. WSJ도 “GM이 북미 내 공급망 안정을 위한 전략적 행보를 강화했다”고 강조했다.
전문가들은 향후 미국·중국 중심의 배터리 공급망 구조와 기술 내재화 경쟁이 더욱 치열해질 것으로 전망한다. 배터리 원자재 조달, 현지화 정책, 가격 및 안정성 등 다양한 변수가 글로벌 전기차 및 배터리 시장 질서를 재편할 것으로 보인다.
국제사회는 이번 대규모 생산 전환 조치의 실제 시행력과 보급형 전기차 시장 확대에 미칠 영향을 주목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