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동차

“2035년 무공해차 목표 논란”…자동차산업협동조합, 부품업계 부담 우려→현실적 조정 촉구

오승현 기자
입력

자동차 산업의 지형 변화를 예고하는 정부의 '2035년 국가 온실가스 감축목표(NDC) 수송부문 무공해차 보급 목표'에 대해, 한국자동차산업협동조합이 부품업계의 현실에 부합하는 정책 조정과 다양한 기술 대안의 포용을 요구하고 나섰다. 조합은 무공해차 보급 목표인 980만대 달성이 부품업계에 막대한 부담을 안길 수 있다며, 목표 수치를 550만∼650만대로 하향 조정할 것을 공식적으로 건의했다. 

 

조합 발표에 따르면, 내연기관차 대체는 2034년부터 신규 판매가 사실상 중단돼야 가능한 시나리오이지만, 현재 국내 부품기업의 전동화 전환율은 19.9%에 머물러 실현 가능성이 희박한 것으로 분석됐다. 실제로 부품기업 1만여개 가운데 45.2%는 엔진 등 내연기관 부품을 생산하고 있어, 급격한 전동화 요구는 대규모 고용 위기와 산업공급망의 혼란을 야기할 수 있다는 우려가 커지고 있다.

2035년 무공해차 목표 논란…자동차산업협동조합, 부품업계 부담 우려→현실적 조정 촉구
2035년 무공해차 목표 논란…자동차산업협동조합, 부품업계 부담 우려→현실적 조정 촉구

이에 따라 조합은 전기차·수소차 중심의 획일적 추진 대신 하이브리드차, 플러그인하이브리드차, 탄소중립연료 활용 내연기관차 등 다양한 기술 노선 병행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뿐만 아니라 미래차부품산업특별법의 실효성 강화를 위한 예산 반영, 정책금융 지원 확대, R&D 자금 지원 확대, 생산기반 및 디지털 전환 등 산업 인프라 보강을 위한 4대 정책 지원을 요청했다. 이택성 이사장은 부품업계의 지속가능한 전환을 도모하기 위해 국내 생산 전기차 중심 정책과 기술다양성 인정의 중요성을 역설하며, 정부와 업계의 긴밀한 소통과 실질적 지원책 마련을 주문했다.

오승현 기자
share-band
밴드
URL복사
#한국자동차산업협동조합#무공해차#부품업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