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익 부합 땐 모든 파트너와 협력”…김진아 외교2차관, 소다자주의 실용외교 강조
동아시아 지역의 외교 협력 방향을 둘러싸고 대외정책 기조를 재구성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15일 서울 웨스틴 조선에서 개최된 동아시아협력포럼에서 김진아 외교부 2차관은 "국익에 부합하고 역내 안정에 기여하는 실제적 파트너국과는 양자, 삼자 등 다양한 방식의 협력에 열려 있다"고 발언하며 인식 전환을 촉구했다.
김진아 차관은 이날 개회사를 통해 "전통적 협력모델의 틀에서 한걸음 나아가 유연하고 포용적인, 그리고 빠르게 변화하는 세계질서에 효과적으로 대응할 새로운 협력 프레임워크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그는 한미일 3각 협력과 한중일 대화의 사례를 들며 "소다자주의 체제가 불확실한 시대에 가장 실용적이고 효과적인 접근법임을 최근 경험하고 있다"고 평가했다.

김 차관은 재난과 기후 위기 같은 초국경적 위협도 동아시아의 공동 대응이 시급하다고 설명했다. "국경을 넘어선 자연재해 대응 체계가 필수"라고 언급하며, 한국이 개발 중인 '동아시아 맞춤형 기후예측시스템'의 데이터를 주변국과 공유해 태풍, 호우 등 각종 재난에 효과적으로 협력할 수 있다고 부연했다.
이날 포럼 전문가 세션에서는 도널드 트럼프 전 미국 대통령의 2기 정책, 미중 패권 경쟁, 우크라이나 전쟁 장기화가 동아시아 안정에 미치는 영향도 집중 분석됐다. 장 바오휘 링난대학교 교수는 "동아시아는 미중 경쟁의 영향 하에 있지만, 지역주의적 협력에 대한 기대는 여전히 유효하다"고 낙관했다. 그는 특히 "트럼프 정부의 관세 위협을 고려할 때 한국과 일본을 포함한 아시아 국가들이 서로 협력을 강화할 수밖에 없는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니시노 준야 게이오대 교수는 "공급망 재구성뿐 아니라, 역내 경제 통합을 위한 공동 연구와 기술 협력이 필요하다"며, "새로운 안보 표준 정립 및 국방 담당자 간 실시간 소통 채널 구축, 위기관리 프로토콜 마련"을 실질적 협력 방안으로 제안했다.
외교부는 동아시아 협력을 위한 미래 의제 발굴과 실천 방안 논의를 위해 2022년부터 동아시아협력포럼을 매년 개최하고 있다. 올해는 300여 명의 역내 전문가가 참석해 디지털 전환과 재난 대응 등 구체적 협력 정책을 심층 논의했다.
정치권과 외교 전문가들은 소다자 협력이 역내 불확실성을 낮추는 핵심수단이라는 데 의견을 모으고 있다. 외교부는 협력 플랫폼 확대와 기후위기 대응 등 분야별 실용외교 구상을 이어간다는 방침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