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호용 상임고문 임명 강행 논란” …국민의힘 선대위, 인선 5시간 만에 철회→당내외 강한 파장
어둑해진 5월 저녁, 국민의힘 중앙선거대책위원회가 정호용 전 국방부 장관을 상임고문으로 위촉했다는 발표는 결코 잔잔히 흘러가지 않았다. 5·18 광주 민주화운동 진압의 주역으로 꼽히는 '신군부 핵심 5인' 정호용 전 장관의 이름은 한순간 온 국민의 기억 저편에서 소환됐고, 그 파문은 예고 없이 여야 정가와 시민사회 전역으로 번졌다. 상임고문 임명 명단이 발표된 지 5시간 만인 밤, 국민의힘은 “원로 인사 추천 명단 정리 과정에서 사전 검토가 부족했다”는 해명과 함께 인선을 전격 철회하는 운명을 맞았다.
5월 14일 저녁 6시 40분경만 해도 국민의힘은 정 전 장관을 비롯한 14인의 상임고문 선임을 의도대로 강행하려는 듯 보였으나, 곧이어 들끓는 역사의 무게 앞에서 갈피를 잡지 못한 채 위촉 철회라는 급급한 결단을 내렸다. 5·18 민주화운동 44주년을 바로 앞둔 시점, 12·12 군사반란과 광주 진압 책임자였던 정 전 장관의 선대위 합류 소식에 유가족과 시민단체, 정치권을 망라한 비판이 쏟아졌다. 특히 정 전 장관은 1997년 시민군 무력 진압 혐의로 징역 7년형을 선고받은 전력이 있어, 광주 지역사회와 민주화 운동 유공자들은 “상처에 소금 뿌리는 처사”라며 집단 반발의 목소리를 높였다.

당 안팎에서도 ‘민주주의에 대한 예의’와 ‘역사적 책임’을 되묻는 목소리가 잇따랐다. 국민의힘 선대위는 “원로 추천 명단 정리 과정에서 내부 논의와 사전 검토가 충분히 이뤄지지 못했다”고 해명했으나, 내상은 크다. 이번 사태가 남긴 깊은 상처를 수습하기 위한 시간이 필요하다는 주문도 당내외에서 계속되고 있다. 국민의힘은 5·18 민주화운동 기념일을 앞두고 또 다시 역사 인식 논란에 직면하면서, 향후 인선 및 공천 과정에서 더욱 세심한 기준과 검증 절차 강화가 불가피할 전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