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민석 총리 인준 강행”…국회, 야권 표결 거부 속 이재명 정부 첫 내각 출범
정치적 극한 대립 양상 속에서 김민석 국무총리 후보자 임명동의안이 국회를 통과했다. 더불어민주당을 비롯한 여권이 이재명 대통령의 ‘내각 첫 단추’에 힘을 실은 반면, 국민의힘은 표결 자체를 거부하며 강력 반발했다. 총리 인준을 둘러싼 여야의 정면 충돌은 새 정부 출범과 동시에 다시 격랑에 휩싸였다.
3일 국회 본회의에서는 국민의힘 의원들이 집단 불참한 가운데 김민석 총리 후보자 임명동의안이 가결됐다. 무기명 투표 결과 재석 의원 179명 중 찬성 173표, 반대 3표, 무효 3표로 통과됐다. 이로써 김민석 총리는 이재명 정부의 첫 국무총리이자 제49대 국무총리로 공식 취임하게 됐다.

이날 민주당 등 범여권은 인준을 신속히 마무리하며 새 정부 내각 출범의 기반을 다졌다는 분위기다. 반면 제1야당 국민의힘은 김 총리에 대해 재산·학위 등 인사청문회 과정 내내 잇따른 의혹이 해소되지 않았다는 논리로 표결을 전면 거부했다. 실제 국민의힘은 표결이 이뤄질 동안 국회 중앙홀에서 규탄대회를 열었다.
국민의힘 송언석 원내대표는 "김민석 인준 강행은 단순한 인사 실패가 아니다. 이재명 정권의 독재 본능이 드러난 정치적 선언"이라고 비판했다. 또 "이재명 정권은 김민석이라는 오만과 부패의 상징을 총리로 올리며 독재와 폭거라는 몰락의 계단으로 내딛고 있음을 꼭 명심하길 바란다"고 강조했다.
민주당은 이에 맞서 ‘발목잡기 프레임’으로 여론전에 나섰다. 문금주 원내대변인은 “더는 국민의힘의 도 넘은 국정 발목잡기를 참지 않겠다”며, “국민의힘이 계속 국정 안정과 민생 회복을 방해한다면 국민과 함께 강경하게 대응할 것임도 분명히 밝힌다”고 경고했다. 각 진영이 서로 ‘독재’ ‘내란 동조’ 등 강한 단어를 주고받으면서 갈등 수위는 한층 높아졌다.
4선 국회의원인 김민석 총리는 1996년 15대 총선 최연소 당선, 16대 재선 이후 21·22대 총선을 통해 여의도로 복귀했다. 이재명 대통령의 첫 총리 호명 29일 만에 인준 절차가 마무리돼, 신명(신이재명)계 대표 인사가 내각 2인자로 공식 출범했다.
이날 투표 과정에서는 민주당 염태영 의원이 국민의힘 엄태영 의원 명패로 투표하는 해프닝이 있었지만, 우원식 국회의장의 즉각 제지로 표결에는 영향이 없었던 것으로 전해졌다. 김민석 총리 자신도 의원 신분으로 표결에 참여해 눈길을 끌었다.
정치적 상징성이 큰 이재명 정부 첫 내각 구성이 극한 진영 간 대립과 함께 시작된 만큼, 향후 국정운영 과정에서도 여야 간 격렬한 대치가 계속될 전망이다. 국회는 후속 내각 인선 및 법안 처리 과정에서 다시 한 번 치열한 공방을 벌일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