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회, 제헌절 맞아 ‘12·3 계엄 해제’ 상징석 설치”…우원식, 민주주의 의미 되새겨
정치적 상징성과 민주주의 수호를 둘러싼 의미가 국회를 중심으로 부각됐다. 제헌절을 맞은 7월 17일, 우원식 국회의장과 각계 인사들이 참석한 가운데 ‘12·3 비상계엄 해제’ 상징석이 국회에 자리잡으면서 정국에 의미를 더했다. 국회가 대한민국 민주주의의 보루였음을 재조명하는 조사(弔辭)가 이어지며, 헌정 질서 수호의 필요성도 강조되고 있다.
국회는 17일 제77주년 제헌절 경축식을 개최했다. 이날 행사는 국회 의사당 경내에서 열렸으며, 우원식 국회의장은 제헌절의 역사와 함께 “국회가 12월 3일 비상계엄 해제를 이끌었던 민주주의 수호의 역할”을 재확인한다고 밝혔다. 이를 기념해 계엄 해제 당시의 결의를 담은 상징석이 국회의사당 인근에 설치됐다.

이날 행사에는 우원식 국회의장과 4부 요인, 감사원장, 전직 국회의장은 물론 주한외교 사절, 대한민국 헌정회 등이 참석했다. 우원식 국회의장은 “국민의 자유와 권리를 지키기 위해 국회는 항상 앞장서 왔다”며 “헌법 정신을 따라 민주주의를 굳건히 지켜야 한다”고 강조했다.
여야 정치권과 전문가들은 이번 상징석 설치에 의미를 부여하며, 헌법정신과 의회주의 가치에 대한 재론이 필요하다는 점을 짚었다. 그러나 일각에선 정치적 쟁점의 실질적 해소와 제도적 개선이 함께 이뤄져야 한다는 지적도 나왔다. 행사장 주변에서는 “국회가 국민의 신뢰를 회복하려면 실제적 실천이 뒤따라야 한다”는 시민 목소리가 이어졌다.
정치권은 향후 국회의 법제도 개선과 민주주의 실천 여부를 주목하며, 각 당은 제헌절 정신을 계승하는 방안을 모색할 계획이다. 이날 국회는 헌정 수호와 민주주의 발전을 위한 의지의 표명 속에 치열한 공방의 장이 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