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 전산망 신뢰가 흔들렸다”…김민석 총리, 대전 국정자원 화재 현장서 복구 점검
국가 전산망의 핵심 시설에서 대형 화재가 발생하며 정치권과 국민사회가 충격에 휩싸였다. 김민석 국무총리는 27일 대전 유성구 국가정보자원관리원 본원을 방문하고 화재 피해 및 복구 상황을 직접 점검했다. 화재로 정부 주요 전산 시스템 647개가 멈추면서, 전례 없는 행정 마비 사태가 이어졌다.
행안부와 관리원에 따르면, 전날 오후 8시 20분께 국가정보자원관리원 대전 본원 전산실 내 리튬이온 배터리에서 발화가 시작됐다. 불길은 소방당국과 현장 관계자들의 총력 대응 끝에 약 22시간 만인 27일 오후 6시에야 완전히 꺼졌다. 화재로 주민등록증 발급, 정부24, 국민신문고, 온나라시스템 등 핵심 국가업무가 차질을 빚고 있다.

김민석 총리는 현장 브리핑에서 “국가 주요 업무가 중단되는 위기로, 무엇보다 신속한 복구와 재발 방지 대책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김 총리는 앞서 정부서울청사에서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회의를 열고, 행정과 국민생활 피해 최소화 방안도 논의했음을 덧붙였다.
정치권에서도 우려의 목소리가 높아졌다. 여야는 정부 전산망 관리·보안의 허점이 드러난 이번 사고를 엄중히 보고, 추가 피해 예방책 마련을 촉구했다. 더불어민주당은 “디지털 정부의 근간이 흔들렸다”며 근본적 점검을 요청했고, 국민의힘은 “재난 대응 매뉴얼의 실효성을 전면 재검토해야 한다”고 밝혔다. 전문가들도 “정부 시스템의 안정성 확보가 시급하다”는 분석을 내놨다.
특히 주민등록 등 행정증명, 각종 민원 시스템이 동시에 중단되며 국민 불편도 커졌다. 온라인 커뮤니티와 SNS에서는 “국가적 위기” “디지털 행정의 허점이 드러났다” 등 성토 여론이 확산되고 있다.
일각에서는 총선 등 대형 정치 일정이 임박한 상황에서 이번 전산망 사태가 공공 신뢰와 행정 안정성 논란으로 번질 가능성도 경계하고 있다. 정부는 향후 전산망 복구 상황에 따라 관계부처 간 조율과 후속 대책 발표에 나설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