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퇴직 후 2억8천만원 상여금 논란”…김정관, 청문회서 이해충돌 공방
정치

“퇴직 후 2억8천만원 상여금 논란”…김정관, 청문회서 이해충돌 공방

최영민 기자
입력

공직 경력과 민간 경력을 두루 쌓아온 김정관 산업자원통상자원부 장관 후보자를 둘러싸고 국회가 첨예하게 맞붙었다. 퇴직 후 상여금 수령과 두산그룹과의 이해충돌 여부가 핵심 쟁점으로 떠올랐고, 여야는 17일 인사청문회에서 평행선을 달렸다.

 

이날 국회 청문회에서 국민의힘은 김정관 후보자가 2022년 두산경영연구원에서 퇴직했음에도, 이후 3년 동안 2억8천만원 상당의 상여금을 받은 사실에 집중 공세를 폈다. 이종배 의원은 관련 자료를 토대로 "퇴직 이후 거액을 지급받은 것은 심각한 도덕성 논란"이라고 지적했다. 직접 해명에 나선 김정관 후보자는 "당시 회사의 장기상여금 시스템상, 퇴직 후에도 지급받는 구조였다"고 말했다.

이어 김성원 의원은 "두산이 지난 10년간 산업자원통상자원부 산하 공공기관과 맺은 계약이 9조8천억원에 달한다"며, 김 후보자의 장관 임명이 명백한 이해충돌 소지가 있다고 주장했다. 김 의원은 "이 같은 배경에서 후보자가 산자부 수장이 되는 것은 심각한 우려를 낳는다"고 강조했다.

 

반면 더불어민주당은 야당의 문제 제기를 반박하며 김 후보자의 역량과 청렴성을 강조했다. 민주당 김원이 의원은 "성남FC 불법 후원금 사건은 김 후보자가 두산에 재직한 시절과 겹치지 않는다"며, 국민의힘 결론이 성급하다고 항의했다. 곽상언 의원도 "25년간 기획재정부와 한국은행 등 핵심경제 부처와 두산그룹 임원 경력이 있는 만큼, 통상전쟁과 에너지 현안에 능동 대응할 적임자"라고 평가했다.

 

청문보고서 절차를 둘러싸고도 여야는 충돌했다. 민주당 김동아 의원은 국민의힘이 청문보고서 채택을 '일괄 보류'하기로 한 데 대해 "후보자가 아무리 해명해도 결과는 정해져 있다는 것 아니냐"고 비판했다. 이에 이철규 산자위원장은 "청문 시작 전은 물론이고 의정활동 자체를 폄훼한 부적절한 언사"라고 반박했다.

 

오는 장관 인선이 통상·에너지 등 주요 정책 방향에 영향을 미칠 가운데, 국회는 당분간 공방을 이어갈 것으로 전망된다. 청문보고서 채택과 관련해 다시 논의가 이어질 것이란 관측도 나온다.

최영민 기자
share-band
밴드
URL복사
#김정관#국민의힘#더불어민주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