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방암 치료받은 여성, 치매 위험 오히려 더 낮다”…대규모 연구서 밝혀져
유방암 환자의 치매 발병 위험이 일반 여성 인구보다 오히려 낮다는 연구 결과가 대규모 코호트 분석을 통해 확인됐다. 항암치료 과정에서 인지기능 저하를 호소하는 경우가 많았던 기존 통념과 달리, 장기 추적 결과 항암 또는 방사선 치료를 받은 유방암 환자에게서 치매로 이행하는 장기적 위험도는 오히려 더 낮게 나타난 것이다. 산업계와 의료계는 이번 연구가 암 치료 과정에서의 신경학적 합병증 관리 및 돌봄 전략 수립에 중요한 전환점이 될 것으로 보고 있다.
신동욱 삼성서울병원 가정의학과 교수, 한경도 숭실대 정보통계보험수리학과 교수, 정수민 서울대병원 가정의학과 교수 등 공동 연구팀은 국제학술지 자마 네트워크 최근호에 유방암 수술 환자의 치매 위험을 대조군과 정밀 비교분석한 결과를 발표했다. 연구팀은 2010년부터 2016년까지 유방암 수술을 받은 환자 7만701명을 선정하고, 이와 연령 등 조건을 맞춘 3배 규모(18만360명)의 일반인 대조군과 평균 7.9년간 추적 관찰했다. 그 결과, 유방암 환자군의 연간 치매 진단 빈도는 1000명당 2.45건으로, 일반 대조군(2.63건)보다 유의하게 낮았다.

연구진은 나이, 체질량지수, 당뇨, 고혈압, 흡연, 음주 등 10여가지 치매 위험 인자를 보정한 다변량 분석에서도 유방암 환자의 치매 위험도가 일반인 대비 약 8% 낮음을 확인했다. 특히 항암·방사선 치료 병행 환자의 치매 위험은 대조군보다 23% 더 낮았으며, 이는 통계적으로도 의미 있는 차이를 보였다. 이러한 결과에 대해 연구진은 유방암 치료에 사용되는 일부 항암약물이 타우 단백질 등 치매 유발 물질의 축적을 막거나 이미 형성된 퇴행성 단백질을 제거하는 데 기여할 가능성을 제기했다. 방사선치료 역시 뇌 미세노출을 통한 미세 염증 완화 및 인지기능 보호 효과가 있을 수 있다고 분석했다.
실제 유방암 방사선치료의 경우 전체 조사선량 50그레이(Gy) 중 일부가 뇌에 약 0.2Gy 정도 전달된다는 점, 해외의 다른 방사선치료 인지연구에서 치매 환자 뇌의 염증반응이 3Gy 조사 후 줄어든 사례도 함께 언급됐다. 다만 유방암 환자 내부에서도 흡연, 당뇨, 신장질환 등 동반 질환이 있는 경우 치매 발생 위험이 각각 2~3배가량 높게 나타나 관리의 중요성이 강조됐다.
글로벌 시장에서는 항암치료 과정에서의 인지기능 보호 및 회복 전략, 환자 맞춤형 돌봄 설계 논의가 활발히 진행 중이다. 미국 등에서는 유전체·생활습관 빅데이터를 활용한 인지기능 예측·모니터링 연구가 늘고 있으며, 유럽은 항암약물의 신경계 내 기전 규명을 위한 임상 시험이 본격화되고 있다.
치매·항암치료 관련 국내외 의료 윤리 지침 상, 증상 보고와 장기 추적 모두 중요하게 평가되나, 이번 연구는 실제로 임상 진단에 반영할 수 있는 정량적 위험도를 제시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 일각에서는 항암치료 과정의 일시적 인지 저하와 치매로의 이행을 분리해 산업적, 정책적 돌봄 방안을 재설계할 필요가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신동욱 교수는 “유방암 환자가 경험하는 항암치료 중 인지기능 저하는 대부분 일시적이며, 이번 연구에서 장기적 치매 위험이 오히려 낮다는 사실을 확인했다”면서 “치매에 대한 불안보다는 합병증 관리와 회복에 집중하는 것이 치료에 도움이 될 수 있다”고 강조했다. 산업계는 이번 연구가 실제 암 환자 돌봄 정책, 신경인지 기능 관련 바이오 헬스케어 서비스 개발 등에 긍정적 영향을 줄지 주목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