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당한 명령 내려 외압 아냐”…이종섭 전 장관, 해병특검 4차 소환서 혐의 전면 부인
채상병 순직 사건을 둘러싼 외압 논란이 격랑에 휩싸였다. 이명현 순직해병 특별검사팀이 28일 서울 서초구 특검 사무실에서 이종섭 전 국방부 장관을 피의자 신분으로 4차 소환 조사했다. 윤석열 전 대통령까지 의혹의 정점으로 거론되는 가운데, 이 전 장관은 모든 혐의를 다시 한번 전면 부인했다.
이날 오전 특검 사무실에 출석한 이종섭 전 장관은 ‘국방부 재수사 과정에서 혐의자 축소를 지시했냐’는 취재진 질문에 “국방부에서 재수사한 적 없다”고 답했다. 군 검찰이 경찰로부터 해병대 수사단의 조사보고서를 넘겨받아 재검토했다는 사실 자체가 수사에 해당하지 않는다는 설명이다.

이 전 장관 측은 군에 수사권이 없기 때문에 외압도 성립할 수 없으니 혐의가 무의미하다고 강조하고 있다. 박진희 군사보좌관이 지난해 국방부 조사본부에 ‘혐의자 중 4명을 빼라’고 전화했다는 점에 대해서도 “외압 정황이라는 지적에 동의할 수 없다”고 맞섰다.
여당과 야권, 그리고 군 내부 여론 역시 팽팽히 맞서고 있다. 이종섭 전 장관 측은 “오늘도 수사외압 의혹은 사실이 아니고, 장관의 이첩 보류 지시는 적법하고 정당했다”고 재차 주장했다. 이어 “정당한 명령 행사에 불법이 없다. 어떠한 범죄도 성립할 수 없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이에 특검팀은 30일 5차 조사를 이어가기로 하면서 사태의 실체 규명에 나서겠다는 입장이다.
이 전 장관은 9월에만 네 차례 소환됐다. 23일, 25일, 26일에 이어 이날까지 사실상 매일 출석하며 특검의 집중 조사를 받고 있다. 2023년 7월 순직 사건 당시 국방책임자 신분이었던 이 전 장관이 윤석열 전 대통령과 채상병 사건 외압·은폐 의혹을 잇는 핵심 연결 고리로 떠오르면서 파장이 확산되는 분위기다.
정치권과 국민적 관심이 증폭되는 가운데, 순직해병 특별검사팀은 조만간 윤석열 전 대통령 측과의 출석 일정을 조율할 전망이다. 특검 조사 결과 및 향후 일정이 정국에 중대한 변수가 될 가능성이 높아, 정치권은 이번 수사의 향방을 예의주시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