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러시아와 거래하면 최대 100% 관세”…트럼프 경고, 옛소련 국가들 경제 충격 우려
현지 시각 15일, 미국(USA)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러시아(Russia)와 무역 관계를 지속하는 국가들에 최대 100%의 2차 관세 부과 가능성을 경고하고 나섰다. 이 조치가 카자흐스탄(Kazakhstan) 등 옛 소련 시절 구성국 경제에 광범위한 충격을 줄 수 있다는 우려가 커지고 있다. 미국의 고율 관세 경고는 우크라이나 전쟁 관련 러시아에 대한 경제 제재가 국제 사회 협력 국면으로 확장되는 신호로 해석된다.
트럼프 대통령은 15일 러시아가 50일 내로 우크라이나 문제에서 실질적인 진전을 보이지 않을 경우, 러시아와 직접 교역하는 국가에 대해 고율 2차 관세 등 추가 제재를 가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는 러시아산 원유와 기타 전략 자원의 유통을 억제하는 데 초점을 두고, 러시아 외화 수입 차단을 노리는 조치다.

‘타임스오브센트럴아시아(TCA)’ 등 현지 매체는 “카자흐스탄, 키르기스스탄, 아제르바이잔 등은 러시아의 주된 무역 파트너는 아니지만 전략자원 거래 규모가 일정하며, 관세 대상국으로 분류될 우려가 크다”고 전했다. 특히, 카자흐스탄은 8월 1일부터 미국으로부터 25% 관세 적용이 공식 통보된 상태다. 핀란드 에너지·청정대기연구센터(CREA)에 따르면, 지난해 러시아 화석연료 판매 수익의 74%를 중국, 인도, 튀르키예가 차지했지만 카자흐스탄 등 옛 소련 국가들도 무역상 중대한 이해관계를 지닌다.
카자흐스탄 경제전문가 올자스 바이딜디노프는 미국의 고율 관세 정책에 대해 “카자흐스탄과 러시아의 연간 무역 규모가 278억 달러에 달해, 제재 회피의 여지가 거의 없다”고 설명했다. 키르기스스탄 역시 EAEU(유라시아경제연합) 내에서 러시아(67.3%), 카자흐스탄(30.5%)과의 무역 의존도가 높아 2차 제재의 직접적 영향을 받을 것으로 전망된다. EAEU에는 러시아, 벨라루스, 카자흐스탄, 아르메니아, 키르기스스탄 등이 포함돼 있다.
아제르바이잔의 경우, 지난해 러시아와 무역 규모가 48억 달러에 달하며, 러시아는 아제르바이잔의 3번째 교역국이어서 미국의 관세 확대시 신규 부담이 가중될 수 있다는 분석이 나왔다.
전문가들은 이번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경고가 상하이협력기구(SCO) 소속 회원국 경제 전반을 겨냥한 압박임을 지적한다. SCO에는 러시아, 중국, 카자흐스탄, 키르기스스탄 등이 포함돼 있으며, 기존 국제 제재 이상의 광범위한 효과가 우려된다.
관련해 중국(China) 외교부 린젠 대변인은 최근 톈진 SCO 외무장관 회의에서 “중국은 불법적이고 일방적인 제재를 강하게 반대한다”고 밝혔다. 이처럼 관련국들은 미국의 제재 확장 움직임에 대해 공식 반발하거나 상황을 예의주시한다는 입장을 내놓고 있다.
한편, 업계에서는 미국 2차 관세 정책의 최종 실행 여부와 범위에 따라 카자흐스탄 등 주변국 증시 및 원자재 시장에 단기적 변동성이 커질 것으로 내다봤다. 무역 비용 증가 및 우회 경로 모색 등 교역 환경 변화가 불가피하다는 지적도 이어진다.
전문가들은 앞으로 미국과 러시아 양측의 전략 변화를 주목해야 한다며, “구체적 관세 집행 시 옛 소련 구성국과 신흥시장 전반에 출렁이는 파급 효과가 불가피하다”고 전망했다. 국제사회는 이번 제재 경고의 실질적 실행과 그로 인한 무역질서 재편 현상을 예의주시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