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미 투자 급증 속 기업비자 애로 해소”…외교부, 한미 협력 강화 주문
기업의 미국 진출이 확대되며 비자 문제를 둘러싼 불확실성이 다시 쟁점으로 부상했다. 외교부와 미국 내 전 지역 공관이 한자리에 모여 기업비자 제도 개선을 위해 머리를 맞댔다. 김선영 외교부 양자경제외교국장은 “급격히 늘어난 대미 투자는 인적 교류 증가로 이어지는 만큼 안정적 체류 환경이 매우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2일 외교부는 김선영 국장 주재 아래 미국 주재 9개 총영사관 및 4개 출장소 경제담당관들과 경제담당관 회의를 개최했다고 밝혔다. 주미 대사관과 뉴욕, 로스앤젤레스, 샌프란시스코, 애틀랜타, 시카고, 휴스턴, 시애틀, 보스턴, 호놀룰루 등 주요 지역의 총영사관은 물론 앵커리지, 댈러스, 필라델피아, 하갓냐 출장소에서도 참석해 총 13개 기관이 참여했다.

이날 회의에서 참석자들은 우리 기업과 투자자들이 미국 내에서 겪는 비자 발급 관련 문제와 해법을 중점 논의했다. 특히 미국 이민세관단속국(ICE), 관세국경보호국(CBP)과의 직접적 협업 강화, 공관별 선제적 지원 활동 필요성 등이 강조됐다. 김선영 국장은 “공관과 미 이민당국 간 유기적 접촉 선을 적극 구축해달라”고 주문했으며, 이를 통해 우리 기업의 애로사항을 능동적으로 해결하자는 의지를 내비쳤다.
정치권에서도 미국 내 우리 기업 활동 확대가 경제안보와 직결된다는 현실 인식이 확산되고 있다. 외교부는 미국과 한미 비자 워킹그룹 후속회의를 조속히 추진하기로 미측과 합의했다고 설명했다. 이에 따라 한미 양측은 비자 제도 개선, 체류 행정 절차 간소화를 위한 논의를 추가로 이어가기로 했다.
전문가들은 최근 반도체·배터리 등 첨단산업 중심의 미국 투자 확대에 따라 인력 교류와 체류 안정성 확보가 핵심 과제가 됐다고 진단한다. 미국 내 한인 경제단체 관계자 또한 “비자 문제는 초국적 기업의 경쟁력과 직결된다”고 밝힌 바 있다.
미국 경제담당관 회의에서 제기된 의견들은 조만간 한미 비자 워킹그룹 실무협의 등 후속 협상에 반영될 예정이다. 정부는 한미 간 제도 개선을 지속 추진하는 한편, 현지 투자기업 지원에 적극적으로 나서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