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양 무인기 투입 경위 집중 추궁”…이승오 합참작전본부장, 내란특검 소환 파장
‘평양 무인기 투입 의혹’을 둘러싼 내란·외환사태 특별검사팀과 군 지휘부가 정면으로 맞부딪혔다. 조은석 특별검사팀은 17일, 이승오 합동참모본부 작전본부장(육군 중장)을 전격 소환해 무인기 투입 작전의 경위와 상부 보고 구조를 집중 조사 중이다. 압수수색에 이어 군 고위 지휘관 줄소환이 이어지면서, 윤석열 전 대통령의 직접 지시 의혹을 둘러싼 긴장감은 극에 달하고 있다.
법조계에 따르면 특검팀은 이 본부장을 상대로 “작전 실행 과정에서 상부에 적절한 보고가 이뤄졌는지, 김용현 전 국방부 장관이나 윤석열 전 대통령이 구체적으로 지시했는지 여부”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합참 작전본부는 드론작전사령부(드론사)에 대한 공식 지휘계통의 핵심 부서다. 특히 중책인 작전본부장이 어떤 정보와 판단으로 작전 결정을 내렸는지, 보고 라인을 통해 어떤 지침이 전달됐는지가 관건이 되고 있다.

특검팀은 윤석열 전 대통령이 비상계엄 명분 조성을 위해 지난해 10월 드론사에 평양 무인기 투입을 직접 지시했다는 의혹을 들여다보고 있다. “윤 전 대통령이 국방부와 합참을 건너뛰고 드론사에 무인기 투입 준비를 명령했다”는 취지의 현역 장교 녹취록까지 확보된 것으로 전해졌다. 이와 함께 드론사 내 정보작전처장 등 25명을 김용현 전 국방부 장관, 합참의장, 합참 작전본부장 명의로 표창 대상에 올렸다는 정황도 새롭게 불거졌다.
그러나 군 관계자들은 “작전 수행과 표창은 통상적 절차일 뿐, 정치적 의도 개입은 없었다”고 해명했다. 반면 특검팀은 ‘드론사가 무인기 추락 가능성을 알고도 전단통을 부착, 고의로 북한 도발을 유도했는지’ 여부까지 수사 범위를 넓히고 있다. 또 국군방첩사령부가 평양 무인기 침투 작전을 사전 인지했음에도, 내부 보고서를 은폐·왜곡했다는 정황도 검증 중이다.
이보다 앞서 특검은 14일 포천 드론사와 국방부, 국방정보본부, 백령도부대 등 군 관련 장소 24곳에 대해 대대적 압수수색을 단행했다. 이후 고위 군 지휘관 소환이 속속 이어지면서 군 내부의 팽팽한 긴장감이 감지되고 있다. 이날 역시 드론사 지휘관 김용대 사령관이 피의자 신분으로 조사에 나서는 등 군 수뇌부가 연이어 특검 조사대에 올랐다.
정치권과 군 안팎에서는 향후 특검 수사가 어디까지 확대될지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특히 ‘윤석열 전 대통령 직접 개입’의 실체가 규명될 경우, 여야 정국은 격랑에 휩싸일 전망이다. 특검팀은 관련자 추가 소환과 압수수색을 이어가며 군 지휘체계, 대통령 지시 정황 등에 대한 수사를 계속 확대할 방침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