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집중호우에 통신망 긴급 복구”…과기정통부, 재난 대응 총력
집중호우가 방송통신 산업 전반에 위협을 가하는 가운데,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전사적으로 재난 대응 체계를 가동하며 방송통신 인프라 보호에 나서고 있다. 배경훈 과기정통부 장관은 취임 직후부터 방송통신 시설 및 인력의 피해 현황을 직접 점검하며 신속 복구를 지시했다.
17일 기준 과기정통부 산하 63개 본부 및 기관에는 인력·시설 피해가 발생하지 않았으나, 주요 방송통신 네트워크 일부에서는 정전과 침수로 인한 장비 장애가 확인됐다. 이에 긴급 복구팀이 현장에 투입돼 무선 복구율 58.2%, 유선 복구율 77%, 유료방송 복구율 84.5%까지 끌어올렸다. 데이터센터와 주요 디지털서비스는 현재까지 별다른 피해가 없는 것으로 집계된다.

기술적으로 이번 조치는 방송·통신 사업의 근간인 전국 인프라 유지와 국가적 통신 연속성 보장을 동시에 추구한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 과기정통부는 이달 들어 노후방송 시설, 수방 및 배수시설 등 주요 취약점을 선제적으로 점검하며 위험요소를 최소화했다.
특히 이번 대응은 기후위기가 가시화되는 글로벌 환경 변화에 맞춰, ICT 인프라가 실제 재난에 얼마나 견조하게 대응할 수 있는지 시험대가 되고 있다. 미국, 일본 등 선진국들도 최근 극한기상에 맞선 통신 인프라의 이중화 및 신속 대응 프로토콜 개발에 나서는 흐름과 맞물린다.
현행 방송통신재난 위기경보는 ‘주의’ 단계로 상향됐으며, 주요 사업자와 6시간 단위 실시간 현황 공유 체계를 운영하고 있다. 향후 피해가 확대될 경우 위기경보 단계를 추가 상향한다는 계획이다.
배경훈 장관은 “인력과 시설의 추가 피해가 없도록 사전 예방과 신속 조치에 만전을 기해달라”고 당부했다. 향후에는 집배원, 우체국 등 국민 생활 밀착형 인프라에 대한 점검까지 관리 대상을 넓힌다는 방침이다.
전문가들은 이번 대응이 실제 대규모 재난 시 IT·바이오 융합 인프라의 회복력(resilience)과 대응 속도를 가늠할 지표가 될 것으로 내다본다. 산업계는 현장점검과 복구 프로토콜 강화가 통신산업 안정화에 이어, 디지털전환의 근간을 다지는 계기로 작용할지 주목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