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지류 상품권 제외 실망스럽다”…진보당 경남도당, 창원시 소비쿠폰 정책에 소상공인 부담 우려
정치

“지류 상품권 제외 실망스럽다”…진보당 경남도당, 창원시 소비쿠폰 정책에 소상공인 부담 우려

오승현 기자
입력

지류 상품권 지급 방식을 둘러싼 창원시와 진보당 경남도당의 대립이 노골화되고 있다. 이재명 정부의 첫 민생회복 소비쿠폰 지급 정책 시행을 앞두고, 창원시가 종이 형태의 지역 화폐를 지급 수단에서 제외함에 따라 전통시장 소상공인들의 부담이 가중될 수 있다는 지적이 나왔다. 특히 7월 16일, 창원시 의창구 지귀시장 앞에 모인 진보당 경남도당과 시장 상인들은 기자회견을 열고 시의 결정에 강한 우려를 표현했다.

 

진보당 경남도당은 이날 “창원시가 발표한 지원금 지급 방식은 매우 실망스럽다”며 공식 입장을 밝혔다. 이어 “지류 상품권이 없다면 결제 건당 카드 수수료가 발생해 전통시장 상인들에게 추가 부담을 안긴다”고 비판했다. 단체는 “시는 소상공인 수수료 부담을 줄이기 위해서라도 지류 상품권을 반드시 발급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같은 날 창원시는 7월 21일부터 민생회복 소비쿠폰 지급을 시작할 예정이라고 설명했다. 그러나 소비쿠폰 지급 수단으로는 신용·체크카드, 선불카드, 모바일 창원사랑상품권(누비전)만 포함됐고, 지류(종이) 상품권은 제외됐다. 시 관계자는 “지류 상품권을 준비하려면 6주가 필요해 즉각적인 지급이 어렵고, 정책의 빠른 시행과 경기부양 목적에 부합하지 않는다고 판단했다”며 지급 수단 제외 이유를 해명했다. 또한 “포함된 모바일 창원사랑상품권은 별도 수수료가 발생하지 않는다”고도 덧붙였다.

 

현재 도내 군 단위 지역 상당수는 지류 상품권을 소비쿠폰 지급 수단에 포함시켜 전통시장 상인들의 수수료 부담을 줄이고 있다. 이를 둘러싸고 창원시 정책만 소상공인 친화성이 부족하다는 불만이 확산됐다. 시장 상인들은 “모바일 상품권만으로는 모든 소비자가 접근하기 어렵다”며 정부와 지자체의 결정에 재고를 촉구했다.

 

소비쿠폰 지급 방식을 놓고 정책 효율성과 민생 현장의 우려가 맞서면서 창원시와 정치권의 공방이 이어질 전망이다. 창원시는 지급 방식의 효율성, 진보당 경남도당은 소상공인 보호를 각각 내세우며 여론전을 펼치고 있다. 정치권은 현장 목소리를 반영한 지급 방식 개선을 놓고 추가 논의에 나설 것으로 보인다.

오승현 기자
share-band
밴드
URL복사
#진보당경남도당#창원시#민생회복소비쿠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