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코스피 3,190선 강보합”…외인·기관, 삼성전자 담고 SK하이닉스 매도 우위
경제

“코스피 3,190선 강보합”…외인·기관, 삼성전자 담고 SK하이닉스 매도 우위

신민재 기자
입력

7월 17일 코스피 지수가 외국인과 기관의 매수 전환 힘입어 3,190선에서 강보합 마감했다. 삼성전자 등 대형주 반등과 SK하이닉스 급락이 맞물리며 시장 내 종목별 온도차가 커지는 모습이다. 미국 국채금리 부담, 반도체 지수 하락 등 대외변수로 변동성이 짙어지는 가운데 외환시장 불안까지 더해져, 투자자들의 전략적 대응이 요구된다.

 

이날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코스피 지수는 전 거래일 대비 5.91포인트(0.19%) 오른 3,192.29로 장을 마쳤다. 개장 초 3,200선을 상회하며 출발했지만, 투자심리 위축 등으로 한때 3,152.42까지 밀렸다가 오후 들어 외국인(472억원)과 기관(1,605억원)의 순매수세가 유입되며 반등에 성공했다. 개인은 이날 3,357억원을 순매도했다.

[표]투자자별 매매동향
[표]투자자별 매매동향

삼성전자가 3.09% 급등하며 시장의 시선을 끌었다. 대법원이 이재용 회장의 부당합병·회계부정 혐의에 대해 무죄를 확정, 장기불확실성 해소에 긍정적으로 작용했다. 삼성중공업(5.64%), 삼성바이오로직스(3.58%), 삼성SDI(1.65%) 등 삼성그룹 계열 전반이 동반 강세였다.

 

반대로 SK하이닉스는 장중 8.95% 급락, 26만9,500원에 거래를 마감했다. 골드만삭스가 투자 의견을 '중립'으로 하향 조정한 영향이 컸다. 외국인 매도 확대와 차익 실현세가 맞물리며 최근 수개월 중 최대 낙폭을 기록, 반도체주 전반에 하방 압력이 가중됐다.

 

기관·외국인 투자자들은 유가증권시장에선 삼성전자, 한화에어로스페이스, 유한양행, 현대로템 등 주도 우량주에 매수세가 집중됐다. 방산·조선주 관심이 특히 높았다. 하지만 SK하이닉스, 카카오페이(1,023억원 순매도), 네이버 등 성장주엔 매도세가 뚜렷했다. 기관의 종목별 매매패턴도 유사했다.

 

6월 16일부터 7월 17일까지 한 달간 누적으론 기관(1조 2,965억원)과 외국인(4,527억원)이 코스피에서 순매도를, 개인은 1조 7,344억원 순매수를 기록했다. 방어적 개인 유입과 달리 외국인과 기관은 매도 주체로 작용했다.

 

시가총액 상위주 중 LG에너지솔루션(1.93%), 현대차(1.20%), KB금융(1.06%) 등은 상승랠리를 이어갔고, 카카오페이는 스테이블코인 기대감 경계로 14.26% 급락, 신한투자증권은 '중립' 의견으로 전환했다.

 

외환시장 역시 주목받았다. 원/달러 환율은 1,392.6원(전일 대비 6.9원 상승)으로 5월 19일 이후 최고치다. 달러 강세와 미국 연준 의장 해임 논란 등 대외변수가 반영된 결과다.

 

업종별로 운송장비·부품(2.02%), 보험(1.80%), 유통(0.39%) 등은 오름세를 보였고, 전기·전자(-0.75%), 증권(-0.41%) 등은 약세였다. 건설, 전기·가스는 뚜렷한 방향성 없이 혼조를 나타냈다.

 

코스닥지수는 0.74%(6.04포인트) 오른 818.27로 마감했다. 개인의 627억원 순매수가 지수 방어를 이끌었고, 외국인은 708억원 순매도했다. 펩트론(19.62%), HLB(3.65%) 등 일부 종목이 두각을 나타냈다.

 

유가증권시장 거래대금은 14조2,700억원, 코스닥은 6조770억원, 대체거래소 넥스트레이드는 8조5,325억원 수준이었다.

 

전문가들은 "삼성그룹주 강세와 반도체주 낙폭이 맞물리며 시장 내 변동성이 단기적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다"며 "원/달러 환율 급등, 미 증시 움직임 등 대외변수에 유의할 필요가 있다"고 설명했다.

 

시장에서는 이달 말 예정된 미 연준 회의 결과와 반도체 업황 개선 여부에 이목이 집중되고 있다.

신민재 기자
share-band
밴드
URL복사
#코스피#삼성전자#sk하이닉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