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코인거래액 19.4% 급감”…거래소 관망심리 확산에 거래 대폭 위축
경제

“코인거래액 19.4% 급감”…거래소 관망심리 확산에 거래 대폭 위축

조보라 기자
입력

국내 가상자산 시장의 하루 거래액이 최근 급감하며 투자자들의 신중한 관망세가 짙어지고 있다. 7월 14일 코인마켓캡 집계(오전 6시 기준)에 따르면, 업비트·빗썸·코인원·코빗 등 주요 4개 거래소의 24시간 총 거래대금은 6조 9,048억 원으로, 전일 대비 1조 6,583억 원 줄며 무려 19.4% 감소했다. 이처럼 단기간 내 거래액이 급격히 축소된 것은 시장 내 불확실성 확대와 규제 이슈, 단기 시세 변동성에 대한 투자자 경계심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것으로 해석된다.

 

상위 거래소별로 보면 업비트가 전체 거래의 68.6%인 4조 7,362억 원을 기록하며 시장 주도권을 유지했다. 이어 빗썸이 2조 441억 원(29.6%), 코인원 1,030억 원(1.5%), 코빗 214억 원 순이다. 거래 비중이 여전히 업비트에 집중되는 현상이 지속되고 있다.

[그래프] 국내 코인거래소 하루거래액 추이
[그래프] 국내 코인거래소 하루거래액 추이

시가총액 상위 코인으로는 비트코인이 3,258조 원으로 1위를 이어갔고, 이더리움(494조 원), 리플 XRP(231조 원), 테더(220조 원), BNB(133조 원) 등이 뒤를 이었다. 이날 비트코인 가격은 1억 6,110만 원으로 전일 대비 142만 원(0.89%) 상승, 50일 내 최고가를 기록했다. 6월 22일 1억 4,091만 원 최저점과 비교하면 14.3% 오름폭이다. 이더리움은 4,014,000원으로 0.32% 상승하며 6월 저점 이후 29.1% 회복세를 기록했다.

 

도지코인은 268.2원으로 전일과 같았으나, 6월 22일 저점 대비 27.1% 뛰며 중기 상승세를 유지했다. 리플 XRP는 3,788원으로 전일 대비 68원(1.83%) 올라 최근 한 달 중 최고가를 경신했다. 최근 재판 관련 이슈와 거래량 확대가 상승을 자극한 것으로 진단된다. 파이코인도 637.7원(0.24%↑)으로 강보합세를 나타냈다. 단, 파이코인은 상장 거래가 이뤄지지 않아 실거래 가격은 내부 산식 기반임을 감안할 필요가 있다.

 

상승폭이 큰 알트코인에도 투자 수요가 몰렸다. 업비트 1주일 상승률 상위 종목은 펏지펭귄(91.63%), 스텔라루멘(86.52%), 카이버네트워크(74.55%), 1인치네트워크(69.86%), 알고랜드(49.17%) 순으로, 고위험·고수익 성향을 선호하는 단기 투자자의 매매가 활발했다. 반면, 일부 코인(예: 카이버네트워크)은 단기간 내 두 자릿수 급락을 겪는 등 변동성이 크게 확대된 모습이다.

 

당일 업비트 거래액 1위는 리플 XRP(6,346억 원)이며, 스텔라루멘(4,806억 원), 바운스토큰(3,445억 원), 모카네트워크(3,270억 원), 펏지펭귄(3,025억 원)이 뒤를 이었다. 이들 중 스텔라루멘과 펏지펭귄은 10% 이상 단기 급등을 보였다. 빗썸도 리플 XRP(2,892억 원), 펏지펭귄(1,969억 원), 스텔라루멘(1,658억 원)이 상위권을 기록하며 알트코인 쏠림 현상이 나타났다.

 

시장 전문가들은 “비트코인 등 대형 코인은 안정적 흐름을 나타내고 있으나 일부 알트코인 쏠림과 단기 등락이 확대되고 있다”며, “거래액이 하루 만에 20% 가까이 줄어든 점은 투자자들이 현 시점 위험 회피와 신중 기조로 전환했음을 시사한다”고 평가했다. 한편, 글로벌 거래량 기준 비트코인 수요는 여전히 미국 달러(90.71%)에 집중돼 있으며, 일본 엔(3.42%), 한국 원화(3.16%)가 뒤를 잇는다.

 

향후 가상자산 시장은 대형주 위주의 점진적 상승 지속 여부, 규제 논의 및 글로벌 증시 연동성이 관건이 될 전망이다. 단기적으로는 알트코인 수급에 따른 변동성 확대와 거래액 추이 변화가 투자자 전략에 추가 영향을 줄 것으로 보인다.

조보라 기자
share-band
밴드
URL복사
#비트코인#업비트#리플xr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