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명, 시진핑에 친서 전달 추진”…한미·한일 정상외교 속 한중 관리 행보
한미·한일 정상외교가 이어지는 가운데, 중국과의 외교 접점에서도 긴장감이 고조되고 있다.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대통령이 오는 25일을 전후로 중국에 특사단을 파견하는 방안이 18일 알려지면서, 여야와 외교가의 이목이 집중되고 있다. 한미정상회담과 일본 방문 일정에 맞춰 중국에도 고위 인사를 파견함으로써, 아시아 주요국과 균형 외교를 도모하려는 전략적 행보라는 분석이 힘을 얻고 있다.
여권 고위 관계자는 “아직 확정되지는 않았으나 한중수교일(24일)을 고려해 특사단 방중 날짜를 조율하는 것으로 안다”고 전했다. 특사단에는 박병석 전 국회의장과 ‘중국통’으로 꼽히는 더불어민주당 김태년 의원, 박정 의원이 포함될 것으로 전해졌다. 또한 노태우 전 대통령의 아들이자 동아시아문화센터 이사장인 노재헌도 동행할 것으로 관측된다.

특사단은 방중 기간, 왕이 중국공산당 중앙외사판공실 주임(외교부장 겸임) 등 중국 고위 인사와의 면담을 추진한다. 특히, 시진핑 국가주석에게 보내는 이재명 대통령의 친서를 직접 전달할 것으로 보인다. 정가에서는 이 친서에 오는 10월 경주에서 열릴 예정인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에 시진핑 주석 참석을 요청하는 메시지가 담길 가능성에 주목하고 있다.
이와 별개로, ‘전승절 기념식’ 등 대외 행사에 이재명 대통령이 불참할 가능성이 높은 상황에서, 한중관계 관리를 위해 기념식 직전 특사단을 파견하는 것 아니냐는 시각이 나온다. 그러나 여권 관계자는 “다른 국가에도 특사단을 보내 친서를 전달 중이니 확대 해석해서는 안 된다”고 선을 그었다.
대통령실 역시 “우리 정부는 중국 측과 특사단 관련 협의를 지속하고 있다”면서도 “공식 발표 전에는 구체적인 사항을 밝히기 어렵다”며 신중한 입장을 견지했다.
양국 간 특사 파견 논의의 최종 조율이 이뤄질 경우, 한미·한일 정상외교와 맞물려 10월 APEC 정상회의 성사 여부와 아시아 외교지형에 적잖은 파급이 예상된다. 정부는 향후 일정을 조율하며 한중 고위급 대화의 돌파구를 마련할 전략적 입지를 강화할 방침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