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前정부 일방강행이 문제악화”…이재명 대통령, 의정갈등 해법과 신뢰 회복 강조
의정 갈등을 둘러싼 정치권의 긴장감이 다시 고조됐다. 이재명 대통령이 직접 나서 갈등의 원인으로 전임 정부의 일방적 정책 추진을 지적하고, 신뢰 회복과 대화·타협을 해법으로 제시했다. 대통령의 이 같은 발언은 최근 의료계와 정부 간 대립, 국회 내 합의 불발 등으로 혼란스러운 정국에 다시 한 번 파장을 일으켰다.
이재명 대통령은 3일 청와대 영빈관에서 취임 한 달 기자회견을 열고, 의정 갈등 해법을 묻는 질문에 “신뢰를 회복하고 대화를 충분히 하고, 또 적절하게 필요한 영역에서 타협해 나가면 충분히 해결할 수 있겠다는 생각이 든다”고 밝혔다. 그는 정부가 바뀌며 사회적 불신이 다소 완화된 점을 언급하며, “여러 가지 상황이 조금 호전되는 것 같다. 정부가 바뀌면서 불신 같은 게 조금 완화된 것 같다”고 평가했다.

특히 이 대통령은 전 정부의 정책 기조에 대해 “전 정부의 과도한 억지스러운 정책, 납득하기 어려운 일방적 강행 등이 문제를 많이 악화시켰고, 의료 시스템을 많이 망가뜨려 국가적 손실도 매우 컸다”며 “이른 시일 안에 대화하고, 솔직한 토론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어 기자회견 말미엔 “보건복지부 장관이 빨리 임명되기를 기대하고 있다”고 덧붙이며, 현재 공석인 복지부 장관에 대한 입장도 분명히 했다.
정치권에서는 이재명 대통령의 이날 기자회견을 두고 다양한 해석이 나온다. 여권은 대통령이 직접 갈등 해소 의지를 밝힌 점에 의미를 두는 반면, 야권 일각에서는 전임 정부 책임론을 부각시키는 데 의문을 표했다. 의료계 역시 과학적 원칙에 기반한 정책 논의가 있다면 대화에 나설 수 있다는 입장이지만, 과거 정책 책임을 둘러싼 논쟁은 계속되고 있다.
정국이 복잡한 상황인 만큼, 향후 세부 정책 조정과 보건복지부 장관 인선 절차가 의정 갈등 해소의 주요 분기점으로 떠오를 전망이다. 이재명 대통령은 거듭 신뢰 회복과 대화, 타협을 해법으로 내세운 만큼, 정부는 조속한 장관 임명과 의료계·정치권과의 협의에 속도를 낼 것으로 전망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