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미국행 우편물 관세 강화”…우본, 소포·EMS 접수 중단 결정
IT/바이오

“미국행 우편물 관세 강화”…우본, 소포·EMS 접수 중단 결정

이예림 기자
입력

미국의 국제우편 관세 정책이 대폭 변경되면서 우정사업본부가 미국행 항공소포와 EMS(국제특급우편) 서비스 접수를 단계적으로 중단한다. 산업계와 이용자들은 글로벌 전자상거래와 개인 물품 유통에 큰 변화가 불가피할 것으로 보고 있다. 업계는 미국의 관세 시스템 전환이 글로벌 국제물류의 전환점이 될 수 있다고 판단한다.

 

우정사업본부는 21일, 오는 25일부터 미국행 항공소포의 우체국 창구 접수를 전면 중지한다고 밝혔다. 이어 26일부터는 서류를 제외한 EMS 등 거의 모든 우편물 접수를 추가로 중단한다. 이번 조치는 미국이 6월 29일부터 도입하는 새로운 관세 정책 때문이다. 종전에는 해외에서 수입되는 800달러 이하 물품에 대해 관세가 면제됐으나, 앞으로는 물품 가액과 상관없이 서류·서신을 제외한 모든 국제우편물에 15% 관세가 부과된다. 이때 우편물 신고도 반드시 이뤄져야 한다.

우본은 현재 국제우편망으로는 미국의 강화된 관세 체계에 즉각 대응이 어렵다고 보고 부득이하게 접수를 일시 중단하기로 했다. 이미 중국, 홍콩, 싱가포르, 프랑스 등 여러 국가가 비슷한 이유로 미국행 국제우편 접수를 중단한 바 있다. 다만 우정사업본부와 민간 특송사 협력으로 운영되는 EMS 프리미엄 서비스는 계속 이용할 수 있다. EMS 프리미엄은 민간 특송사가 직접 통관 절차를 대행하지만, 관세 등 최종 비용은 수령인이 부담하는 구조다. 단, 일부 저중량 구간은 일반 EMS보다 서비스 요금이 높게 적용될 수도 있다.

 

이번 정책 변화에 따라 미국행 우편물 발송을 계획한 기업·개인 고객은 반드시 정확한 가액, 용도(선물·상품), 인보이스 등 통관 필요 서류를 준비해야 한다. 우본은 “접수 중지 이후에도 민간 제휴 모델을 보완하고, 서비스 재개 방안과 국민 불편 해소 방안을 지속적으로 마련할 예정”이라고 설명했다.

 

글로벌 시장에서는 이미 관세·통관 규제에 따른 국제물류 시스템 재편 움직임이 확산되고 있다. 미국 이외에도 여러 선진국이 세관·관세 정책 자동화와 엄격한 우편물 추적 기준을 세우고 있어, e커머스 업체와 물류 기업의 공급망 전략 변화가 현실화될 가능성도 있다.

 

조해근 우정사업본부장은 “미국의 관세 정책 변화로 고객의 불확실성이 커진 상황”이라며 “관련 동향을 면밀히 모니터링하고, 국민의 불편을 줄이기 위한 대책 수립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산업계는 이번 정책이 국내외 물류·유통 구조 전환의 신호탄이 될 수 있을지, 서비스 속도 개선 및 디지털 통관 기술 적용 등 새로운 대응 전략에 주목하고 있다.

이예림 기자
share-band
밴드
URL복사
#우본#미국#국제우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