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외동포 안전·권익 제도개선 약속”…이재명 대통령, 세계한인의날 기념식서 지원 방침 밝혀
재외동포 권익과 안전보장을 두고 정치권이 주목하는 가운데 이재명 대통령이 2일 서울 그랜드 워커힐 호텔에서 열린 제19회 세계한인의날 기념식에 참석했다. 최근 미국 조지아주 한국인 근로자 구금 사태를 계기로, 현지 동포사회에서 비자 문제와 안전 보장에 대한 불안이 높아진 상황이라 정국의 이목이 집중됐다.
이재명 대통령은 기념식 축사에서 "정부는 해외에 거주하는 동포 한 분 한 분이 대한민국의 든든한 뿌리임을 잊지 않을 것"이라며 "재외동포의 권익 보호와 안전 보장을 위한 지원책을 적극 고민하겠다"고 밝혔다. 또한 "대한민국 5천만 국민과 700만 재외동포가 한뜻으로 더 큰 도약을 함께 이뤄가야 한다"고 덧붙였다. 이날 행사에는 김경협 재외동포청장, 고탁희 중국한인총연합회장 등 전 세계 각국 교민 대표 약 370명이 참석해 동포 간 유대 강화와 현안 공유에 힘을 실었다.

특히 최근 미국 내 구금 사건으로 현지 동포의 비자 문제와 안전대책 요구가 높아진 점에 비추어 이 대통령이 정부 차원의 제도 개선과 적극 대처 의지를 공개적으로 밝힌 것은 주목할 만한 대목이다. 대통령실도 이재명 대통령의 이번 참석이 "내외동포가 힘을 모아 한민족 도약을 준비하자는 의지"라고 강조했다.
정치권에서는 해외동포 정책이 점차 국가경쟁력의 중요한 축으로 자리 잡으며, 동포 안전과 권리 보호가 한민족 연대의 핵심 의제로 부상하고 있다는 평가가 제기된다. 전문가들은 "최근 미주 지역처럼 해외에서 발생하는 안전, 처우 이슈에 정부가 선제적으로 대응할 필요성이 크다"고 진단했다. 현장 동포들도 정부의 실질적 보장책 마련과 체계적 지원 정책에 꾸준한 기대를 표명하고 있다.
10월 5일로 지정된 세계한인의날은 2007년부터 법정기념일로 운영되며 정부는 매년 해외 동포사회 기여를 기리고 한국과의 유대 증진을 도모해왔다. 정치권은 재외동포들의 목소리가 국가정책 결정 과정에서 더욱 반영되는 계기로 삼아야 한다고 한목소리를 내고 있다.
정부는 향후 재외동포 권익 강화와 현지 안전 보장 문제가 지속적으로 논의될 수 있도록 다양한 제도 개선을 검토할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