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탈북 국군포로 별세에 생존자 6명 남아”…국방부, 유족과 국가 책임 재확인
6·25전쟁 당시 북한군에 포로로 잡혔다가 탈북해 귀환한 국군포로 한 명이 2일 별세했다. 국방부는 이날 공식 발표를 통해 또 한 명의 탈북 국군포로가 생을 마감함에 따라, 국내 생존 국군포로는 6명으로 줄었다고 밝혔다.
고인은 1951년 강원도 양구전투에서 북한군에 포로로 붙잡혀, 이후 수십 년간 북한 협동농장에서 강제 노동을 하며 생활했다. 2009년에야 극적으로 탈북, 대한민국으로 돌아올 수 있었던 것으로 확인됐다. 국방부는 유족의 요청으로 별세한 국군포로의 실명을 밝히지 않기로 했다.

이두희 국방부 차관(장관 직무대행)은 이날 직접 고인의 빈소를 찾아 조문하며 유족에게 깊은 애도를 표했다. 동시에 "국가가 끝까지 책임을 다하겠다"고 밝힌 것으로 전해졌다. 고인의 원 소속 부대였던 5사단과 자매결연부대인 52사단 장병들도 빈소를 찾아 조문했다.
국방부 관계자는 "전쟁 당시 포로로 잡혀 오랜 세월 고통받다가 끝내 조국의 품에 안긴 국군용사의 명복을 빈다"고 했다. 일각에서는 시간이 흐를수록 귀환 국군포로의 생존자 수가 줄고 있어, 이들에 대한 기록 보존과 국가적 지원 대책 강화가 필요하다는 지적도 제기됐다.
국회 국방위원회 소속 일부 의원들은 "국가와 군의 품으로 돌아온 국군포로에 대한 실효적 지원과 명예 보장이 시급하다"고 강조하며, 향후 제도 개선 논의에서 보훈·명예 관련 법안 처리에 속도를 낼 방침이다.
한편, 국방부는 국군포로와 그 가족에 대한 심층 실태 조사와 지원 대책 마련을 함께 검토 중이다. 정치권과 정부가 국군포로 문제 해결을 둘러싸고 재조명에 나설지 관심이 쏠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