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리당원 15만명 신규 접수”…더불어민주당 광주시당, 지방선거 앞두고 조직 경쟁 과열
정치적 충돌의 핵심인 권리당원 모집을 둘러싸고 더불어민주당 광주시당이 총력전에 돌입했다. 내년 전국동시지방선거를 앞두고 대규모 신규 권리당원 접수가 마감되면서, 후보 입지자 간 조직표 확보 경쟁이 극심해지고 있다. 이에 따라 ‘조직선거’ 논란과 민심 왜곡 우려가 동시에 고조되는 모습이다.
18일 더불어민주당 광주시당은 권리당원 신규 모집을 지난 14일 마감한 결과, 약 15만장의 가입 서류가 제출됐다고 밝혔다. 이로써 기존 8만~8만5천명 수준이었던 광주시당 권리당원 수에 대규모 신규 유입이 예고된 셈이다. 참고로 당 대표 보궐선거 기준, 호남(광주·전남·전북) 지역의 권리당원은 36만5천명으로 전체 민주당 권리당원의 3분의 1가량을 차지한다. 다만, 실제 권리 행사 가능 인원은 중복 가입 또는 허위 작성자 등이 걸러지면서 대폭 줄어들 것으로 보인다.

광주시당 전체 당원 수는 42만 명에 달한다. 이 중 선거일 기준 6개월 이상 당비를 내면 권리당원 자격을 얻게 돼, 실제 행사가능 규모는 더 늘어날 수밖에 없다. 전남도당은 이달 말까지 권리당원 추가 모집을 진행 중이나, 현황은 아직 밝히지 않고 있다. 광주시당 관계자는 "부적격자를 제외한 정확한 증감은 선거 전 당원 명부 배부가 없어 파악하기 어렵다"고 전했다.
이번 신규 접수의 과열 양상은 내년 지방선거에 출마를 준비하는 예비 입지자들이 대거 조직표 확보에 나서며 촉발됐다. 최근 더불어민주당 경선은 권리당원 50%, 일반 여론조사 50%를 반영해 진행돼 왔다. 이에 경선에서 유불리를 가르는 결정적 요소로 권리당원 수가 부각된 셈이다.
조직 경쟁이 심화되면서 부작용에 대한 우려도 확대되고 있다. 정치 신인은 권리당원 집결이 상대적으로 힘들고, 권리당원 확보 수준에 따라 경선 결과가 좌우되면 민심 왜곡 논란이 뒤따르기 때문이다.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대통령도 대선 후보 시절 이 같은 문제의식 속에 "절대 우세 지역, 절대 열세 지역, 중립 지역으로 구분해 권리당원 반영 비율을 차등 적용하겠다"고 당에 제안한 바 있다. 그러나 실제 권리당원 반영 비율 변화 등 제도 개선이 이뤄질지는 불투명하다는 전망이 우세하다.
게다가 정청래 더불어민주당 대표 등 새 지도부는 권리당원과 대의원 표의 등가성 확보를 위한 '1인 1표제', 평당원 최고위원 선출 등 당원 주권 강화에 속도를 내고 있다. 이에 따라 권리당원의 영향력은 한층 커질 것으로 예상된다.
한 정치권 관계자는 "경선 규칙이 아직 확정된 것은 아니나, 입지자 입장에서는 권리당원을 최대한 많이 조직적으로 확보하는 것이 손해 볼 일이 없는 선택"이라며 "현 실정상 권리당원 역할을 줄이기도 쉽지 않아 경쟁 과열이 심화되고 있다"고 분석했다.
정치권은 향후 경선 방식을 둘러싼 논의를 지속하면서 권리당원 중심의 당내 경쟁이 지방선거 판세에 미칠 영향에 주목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