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언론의 허위정보 책임 물어야”…이재명 대통령, 정부 정책소통 기준 재정비 지시
정치

“언론의 허위정보 책임 물어야”…이재명 대통령, 정부 정책소통 기준 재정비 지시

장예원 기자
입력

언론의 고의적 허위보도를 둘러싼 논란이 다시 정국의 중심에 섰다. 이재명 대통령과 대통령실이 언론의 책임과 정부 정책 소통 방식을 전면 점검에 나서며 정치권의 긴장감이 높아지는 모양새다. 미디어 환경 변화에 발맞춘 정책 홍보의 필요성도 국무회의를 통해 부각됐다.

 

이재명 대통령은 18일 서울 용산 대통령실에서 국무회의를 주재하며 “정부를 감시하거나 견제하는 언론의 역할도 중요하지만 고의적인 왜곡을 하거나 허위 정보를 알린다면 신속히 수정하도록 해야 한다. 그에 대한 책임도 물어야 하는 것이 마땅하다”고 강조했다. 강유정 대통령실 대변인에 따르면, 이 대통령의 이 발언은 일부 국무위원이 “사실이 아닌 내용이 언론에 보도되면 반드시 짚고 넘어가야 한다”고 지적한 상황에서 나온 것으로 전해졌다.

이날 회의에서는 외국의 허위·조작 뉴스 차단 사례도 언급됐다. 이재명 대통령은 “외국에서도 허위·조작 뉴스를 엄하게 단속한다는 보고를 들었다”며 “미디어의 변화라는 흐름을 따라가더라도 허위·조작 뉴스는 반드시 해결해야 하는 문제”라고 말했다. 미디어 신뢰와 사실 기반 보도의 중요성을 반복해서 부각한 것이다.

 

정부의 정책 홍보 전략 역시 주요 논의 주제로 떠올랐다. 문화체육관광부는 “각 부처 장·차관이 SNS를 적극적으로 활용하는 등 디지털 중심으로 홍보방식을 전환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이에 일부 국무위원도 “캐나다, 영국 등은 디지털 전환에 발맞춰 온라인 플랫폼 광고 비중을 확대하고 있다”며 기존 미디어 중심의 정부 광고 방식에 문제를 제기했다는 게 강 대변인의 설명이다.

 

이에 대해 이재명 대통령은 “정부 부처의 홍보실적 평가 기준을 재점검해야 한다”며 “부처별 홍보 수단 운영실태를 면밀히 파악해 보고해달라”고 지시했다.

 

또한 이재명 대통령은 국민과의 실질적 소통을 재차 강조했다. 그는 “정부 정책을 국민에게 정확히 설명하고, 그 효과를 국민이 직접 체감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며 “돈을 주고 광고하기보다는 국민과 얼굴을 맞대는 소통이 핵심”이라고 밝혔다. 이어 “공급자 관점이 아닌 수용자인 국민 입장에서 더 나은 대안을 마련해달라”고 주문했다.

 

정치권은 정부의 언론관 및 정책 홍보 방식을 빠르게 점검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대통령실의 기준 재정비 지시 이후 각 부처는 홍보실적과 소통 방식 전반을 재평가할 방침이다. 여야는 언론의 역할과 책임, 정부 홍보 기준을 둘러싼 논쟁을 이어갈 전망이며, 정부는 미디어 환경 변화에 맞춘 정책 소통 체계를 마련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장예원 기자
share-band
밴드
URL복사
#이재명대통령#언론#대통령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