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로고 실수 논란”…슈카, 일베 프레임 반박 나섰다
유튜브와 온라인 커뮤니티에서 발생한 이미지 사용 실수가 사회적 파장을 일으키고 있다. 구독자 360만 명을 보유한 경제 유튜버 슈카(전석재)가 ‘일베’로 대표되는 극우 커뮤니티 관련 이미지를 방송에 노출한 것을 두고, 언론 프레이밍과 온라인 플랫폼의 책임 문제가 동시에 대두됐다. IT 업계와 미디어 환경에서는 온라인 콘텐츠 제작 과정의 관리 리스크, 실시간 검증 시스템 부재 등 플랫폼 생태계 특성상 유사 사례 확산 우려가 이어진다.
슈카는 지난 1일 유튜브 채널 ‘머니코믹스’ 출연을 통해 “일간베스트 사이트를 이용해본 적도 없고, 해당 이미지는 리서치팀 제작 과정에서 실수로 삽입된 것”이라고 해명했다. 실수에 대한 의도적 악의 프레임이 언론에 의해 확산됐다는 점을 강조하며, 실제 검증 절차에서 “자료 제작팀 1차 검수와 본인 검수까지 거쳤지만 조작 로고의 교묘함을 간과했다”고 밝혔다. 오류 영상은 즉시 비공개 처리했으며, 사과의 의미로 대한적십자사 독립운동가 후손 돕기 캠페인에 3,000만원을 기부한 사실도 공개했다. 논란이 된 이미지는 WHO 로고를 변형, 특정 정치인을 조롱 대상으로 삼아 일베에서 유통된 유형에 해당한다.

특히 이번 논란은 크리에이터 콘텐츠 생산 과정의 검수 한계와, 언론의 자극적 헤드라인 선정 관행 등 디지털 플랫폼의 정책·윤리 문제로 확장되고 있다. 해외 주요 소셜 플랫폼에서도 유사 이미지 오남용 논란이 빈발하며, 미국 유튜브·트위치 등은 가짜뉴스·심층조작 이미지 표시 강화와 AI 기반 실시간 모니터링 정책을 마련해왔다. 국내 플랫폼 역시 거짓 정보·비방 콘텐츠에 대한 자율규제 및 중앙 감시체계 도입이 더 강화될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온다.
논란 이후 슈카는 “언론 보도의 문제점과 함께 향후 개인 콘텐츠 채널의 운영 지속 가능성을 고민할 정도로 ‘현타’를 느꼈다”고 언급했다. 전문가들은 개인·조직 구분 없는 온라인 생산 구조에서 사실 검증, 데이터 진위 판별, 플랫폼 자체 검열체계 강화가 필요하다는 점에 주목한다.
국내외 플랫폼 기업들은 책임 중심 IT 운영 원칙과, 사회적 영향력이 커진 크리에이터 생태계의 자정 기능 정립이 주요 과제로 떠오를 것으로 보인다. 산업계는 이번 사례가 온라인 정보검증과 윤리적 제작환경 구축 논의에 분기점이 될지 주목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