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국제유가 2% 가까이 급락”…OPEC플러스 증산 전망에 5개월 만에 최저치

강예은 기자
입력

현지시각 2일, 미국(USA) 뉴욕상업거래소와 영국(Britain) 런던 ICE선물거래소에서 국제유가가 주요 산유국의 증산 확대 전망에 힘입어 2% 가까이 하락했다. 이번 가격 급락은 5개월 만의 최저 수준을 기록하며, 글로벌 공급 과잉 우려와 산유국 정책 변화가 맞물린 영향으로 풀이된다.

 

현지 시간 기준 이날 뉴욕상업거래소에서 서부텍사스산원유(WTI) 11월 인도분 가격은 전 거래일 대비 2.1% 하락한 배럴당 60.48달러를 기록했다. WTI는 지난 5월 30일 이후 최저치로, 배럴당 60달러선을 위협받게 됐다. 런던 ICE선물거래소의 12월 인도분 브렌트유 선물 역시 1.9% 내려간 배럴당 64.11달러에 거래를 마감했다. 이 같은 하락세는 글로벌 공급 불안과 OPEC플러스 증산 가능성이 부각되며 4거래일 연속 이어지고 있다.

국제유가 2% 하락…OPEC+ 증산 전망에 5개월 만에 최저
국제유가 2% 하락…OPEC+ 증산 전망에 5개월 만에 최저

이번 가격 변동의 배경에는 5일로 예정된 OPEC플러스(OPEC과 러시아 등 주요 산유국 연합체) 회의에서 증산 확대가 논의될 전망이 크게 작용했다. 시장에서는 단기적으로 원유 공급량 증가를 예상하며 투자 심리가 위축됐다. HFI리서치 등 주요 에너지 분석기관들은 미국 석유 재고가 연말까지 늘어날 것으로 전망하면서, “전 세계적으로 가시적인 재고 누적이 동시에 일어날 수 있다”고 분석했다. 또한 “OPEC플러스가 수출을 확대할 경우 유가 약세가 지속될 것”이라는 견해도 내놨다.

 

이에 주변국 및 국제 투자자들은 OPEC플러스의 생산 정책 변동 여파를 주시하고 있다. 미국 등 원유 수입국은 유가 하락이 에너지 비용 안정화에 단기적으로 기여할 수도 있다고 밝혔으나, 산유국들은 수익 악화 가능성에 대한 우려 또한 높다. 뉴욕타임스는 이번 유가 약세가 “전통적인 산유국 영향력의 시험대가 될 것”이라고 평가했다.

 

향후 OPEC플러스 회의 결과와 글로벌 원유 재고 추세가 유가 흐름의 핵심 변수로 작용할 전망이다. 전문가들은 생산 정책 조정이 시장 안정화로 이어질 수 있을지, 또는 증산 경쟁 심화로 공급 과잉이 장기화될지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이번 조치가 향후 국제 에너지 시장에 어떤 변화를 초래할지 주목된다.

강예은 기자
share-band
밴드
URL복사
#opec플러스#국제유가#wt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