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안 규정 위반 은폐 정황”…이기헌, 체육진흥공단 조직적 눈속임 강력 비판
체육진흥공단의 조직적인 보안 규정 위반과 이를 은폐하려는 시도가 국정감사에서 도마 위에 올랐다. 2일 국회 문화체육관광위원회 소속 더불어민주당 이기헌 의원은 국정감사 자료를 통해 “국민체육진흥공단이 내부 보안 규정을 어기고도 감사 적발을 피하려는 조직적 행위가 있었다”고 폭로했다. 공단의 보안 의무 이행 실태와 관리 허점이 재조명되며 정치권 논란이 불거지는 양상이다.
이기헌 의원이 밝힌 자료에 따르면, 공단은 용역·도급업체 전산망을 공단 업무용 전산망과 분리하고, 외부 인터넷 연결 및 자료 공유 사이트 접속을 금지하는 등 엄격한 보안 규정을 마련해왔다. 그러나 실제로는 내부 비리 제보 시스템인 ‘레드휘슬’에 접수된 신고에 따라 도급업체 직원들이 개인 노트북을 외부망 회선에 연결하고, 업무 중 개인 외장하드를 지참하는 등 위반 행위가 일상적으로 이뤄졌다.

특히 지난 3월 국가정보원 보안감사 당시, 공단 디지털혁신팀이 감사 도중 별도 공간에 도급업체 관계자들의 외부 노트북을 치우고 숨겨 두는 방식으로 마치 보안 규정을 준수하는 것처럼 조작했다는 내부 제보도 공개됐다. 감사 적발을 피하기 위해 조직적으로 보안 실태를 은폐한 셈이다.
이런 사실이 드러난 후 진행된 공단 내부 감사에서는 도급업체 직원 한 명만 업무에서 배제하는 것으로 조치가 마무리됐다. 이기헌 의원은 “보안 요구사항은 문서에만 존재하고 실질적 운영은 이루어지지 않은 채, 조직적으로 눈속임을 해온 정황이 분명히 드러났다”고 지적했다. 이어 “공단 측이 도급업체 직원 한 명만 희생양으로 내세운 것은 심각한 책임 회피이자 꼬리 자르기”라고 강하게 비판했다.
정치권은 체육진흥공단의 책임 소재와 보안 관리 실태를 집중 추궁하고 있다. 여야 의원들은 조직적 은폐 시도와 감시망 회피에 대한 추가 조사 및 관련자 조치 필요성을 제기한 것으로 알려졌다. 전문가들 또한 “공공기관 보안의식 부재와 관리체계 허점이 국민 신뢰를 훼손한다”는 우려를 쏟아냈다.
공단 내 보안 위반과 은폐 논란이 더욱 확산되면서, 향후 관련 기관의 대대적인 실태 점검과 책임자 문책 논의가 이어질지 주목된다. 문체부와 국회는 연내 관련 기관 추가 감사를 통해 관리 실태를 점검할 방침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