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포츠

“복권 투표 압도적 통과”…러시아, 밀라노 패럴림픽 정상 출전→국가 상징 전면 허용

윤지안 기자
입력

치열한 표결 끝에 탄생한 결정이었다. 2025년 서울에서 열린 국제패럴림픽위원회 정기총회장, 러시아 선수단을 대표하는 일부 인사의 얼굴에는 안도의 빛이 스쳤다. 2026년 밀라노·코르티나담페초 동계 패럴림픽을 앞두고, 러시아가 드디어 국제 스포츠 무대에서 완전한 복귀를 알렸다.

 

국제패럴림픽위원회(IPC)는 27일 총회에서 러시아의 회원 자격 복권 안건을 상정해 표결했다. 총 177표 가운데 찬성 111표, 반대 55표, 기권 11표가 나와 과반을 훌쩍 넘긴 압도적 찬성으로 복권이 확정됐다. 이에 따라 러시아는 2026년 동계 패럴림픽에 정상적으로 선수단을 파견하며, 4년 만에 국가명과 국기, 국가 등 모든 국가 상징을 정상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됐다.

“회원 자격 완전 복권”…러시아, 밀라노 동계 패럴림픽 출전 확정 / 연합뉴스
“회원 자격 완전 복권”…러시아, 밀라노 동계 패럴림픽 출전 확정 / 연합뉴스

러시아는 우크라이나 침공 여파로 2022년 3월부터 국제무대 참가에 제약을 받아왔다. 당시 IPC는 벨라루스와 함께 러시아에 국제대회 출전 정지 징계를 내렸고, 2022 베이징 동계 패럴림픽에서는 각국 항의 속에 선수단이 철수하는 극적인 장면도 나왔다. 이후 2023년에는 개인중립선수 자격으로만 국제대회 참가가 제한적으로 허용됐으나, 이번 복권 결정으로 제재가 완전히 해제됐다.

 

이번 조치로 러시아는 앞으로 패럴림픽을 비롯해 모든 장애인 국제대회에서 국가의 이름과 상징을 완벽히 드러내며 출전할 수 있게 된다. 특히 내년 3월에 열릴 밀라노·코르티나담페초 동계 패럴림픽에서는 선수단 규모와 국가 정식 명의 파견 등 대부분의 제약이 사라질 전망이다.

 

반면, 같은 이유로 징계를 받았던 벨라루스의 회원 복권 여부는 이날 오후별도의 표결로 결정될 예정이어서 조심스러운 분위기가 감돈다. 이와 별개로, 러시아와 벨라루스는 국제올림픽위원회(IOC)에서도 여전히 징계가 유지되고 있어 올림픽 무대에선 개인중립선수 자격 참가만이 허용된 상황이다.

 

2024년 파리 하계 패럴림픽에서 러시아는 여전히 88명의 선수단이 개인중립선수 신분으로만 제한적 출전을 했지만, 오늘 IPC 총회 결과로 내년엔 완전한 정상 참가가 가능해졌다. 완전 복권을 결정한 IPC 회원국 다수는 러시아의 국제 무대 신뢰 회복과 종목 다양성 확보를 긍정적으로 평가하는 분위기다.

 

러시아가 다시 온전한 국가 대표 자격을 얻으며, 국제 장애인 체육계의 지형도 역시 새로운 장을 맞게 됐다. 변화의 물결 한가운데, IPC와 각국 선수단 모두에게 이번 표결은 오랜 기다림과 치열한 논쟁의 결실이었다. 2026년 3월 열리는 밀라노·코르티나담페초 동계 패럴림픽에서 러시아의 새로운 페이지는 이제 곧 펼쳐진다.

윤지안 기자
share-band
밴드
URL복사
#러시아#패럴림픽#ip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