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병역 특례·논문 표절 의혹 정면 반박”…배경훈, 청문회서 의혹 해명
병역특례 복무와 연구윤리, 그리고 퇴직 시점 논란을 둘러싼 의문이 국회에서 또 한 번 수면 위로 떠올랐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 후보자 배경훈이 14일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과방위) 인사청문회에서 핵심 의혹들에 대해 적극 진화에 나섰다. 그는 “물론 오해의 소지가 있지만, 병역 복무 기간 중에는 직무에 충실했다”고 밝히며 논란을 일축했다.
이날 청문회에서 배경훈 후보자는 전문연구요원 기간에 폐업한 회사에서 2개월간 근무하며 병역 기간으로 산입했다는 의혹에 대해 “기업부설연구소 청산이 서류상 폐업보다 늦어 이직이 지연됐다”고 해명했다. 이어 “공식 월급을 받지 않은 상태로 매일 출근했다”면서 “한차례 이직 경력이 있었음에도 회사 폐업 이후 다시 이직한 것은 행정 절차상 불가피했다”고 덧붙였다.

경영 사정이 좋지 않은 회사에서 4천100만원의 연봉을 수령한 점도 도마에 올랐다. 배 후보자는 “최초 연봉은 3천100만원으로 다른 복무자와 유사했다”면서, “경영이 악화되자 여러 업무를 맡았고, 일당백으로 3~4명 몫을 했다고 자부한다. 인센티브도 연구소장이 별도로 지급했다”고 설명했다.
박사학위 취득, 미국 대학 MBA 등을 복무 중 병행했다는 지적에 대해서는, “병역 복무 기간 외에 별도 승인을 받아 박사과정 과정을 밟았으며, 파트타임 병행 역시 회사와 상의해 진행했다”며 “온라인 과정(MBA) 역시 4개월 만에 수료한 만큼 복무에 지장 없었다”고 강조했다.
과방위에서는 전문연구요원 병역 특례 제도를 당초 36개월에서 줄이는 방안이 필요하다는 의견도 제기됐다. 배 후보자는 “인재 확보를 위한 자구책임을 감안해, 임명되면 병무청과 논의하겠다”며 제도 개선 가능성을 내비쳤다.
연구윤리 논란도 도마 위에 올랐다. 논문 중복 게재, 박사학위 논문 활용 관련 비판에 대해 그는 “해당 시기에는 표절 관련 기준이 미비했다”며 “연구윤리 측면에서 충분히 반성하고 있다”고 고개를 숙였다. 또 “경제적 이익을 취한 바는 없으며, 박사논문은 관련 연구성과를 종합해 집필했다”고 밝혔다.
최신 LG AI 연구원장직 퇴직 시점 및 공지 시기와 관련한 지적에는 “회사에 사직을 의뢰했고, 6월 30일자 퇴직처리 및 퇴직금 수령까지 마쳤다”고 설명했다. 퇴직 사실이 국회와 언론에 늦게 전달됐다는 질문에는 “실무 처리 과정에서 늦어진 실수였다”며 “의원들에게 먼저 알리지 못한 점 죄송하다”고 사과했다.
국회는 이날 인사청문회에서 배경훈 후보자와 관련한 병역 특례와 연구윤리 등 각종 의혹을 두고 격렬한 공방을 벌였다. 장관 후보자 인사 청문 절차의 최종 보고서 채택 여부에 따라 향후 정부의 과기정통부 장관 인준 절차와 정치권의 직후 협상 구도에 영향을 미칠 전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