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 전산망 화재로 금융서비스 차질”…금융위, 비상대응체계 격상
국가정보자원관리원 전산실 화재로 주요 금융권의 온라인 계좌 개설과 인증 업무 등 일부 비대면 금융서비스가 계속 제한되고 있다. 이 문제로 금융위원회가 이틀 연속 긴급대책회의를 개최, 중앙사고수습본부로 대응체계를 한층 강화했다. 금융권 전산 인프라와 행정기관 시스템간 연계 장애가 금융산업 운영의 취약성을 드러내며, 향후 서비스 연속성과 보안체계 강화가 시급한 과제로 부상하고 있다.
26일 오후 8시 15분, 국가정보자원관리원 5층 전산실 내 리튬배터리 폭발 사고로 대규모 화재가 발생하면서, 국가 주요 전산망이 사실상 마비됐다. 그 여파로 28일 현재까지 금융위원회 및 금융정보분석원 등 금융당국 사이트 접속이 불가능한 상태다. 은행권 모바일 입출금계좌 개설, 인증서 발급, 간편비밀번호 등록 등도 정상적으로 처리되지 않고 있다.

문제의 핵심은 행정기관 신분확인 절차와 금융서비스 시스템의 밀접한 연동 구조다. 주민등록증 진위여부 확인 작업이 중단되면서, 신규 계좌 개설 시 운전면허증 등 대체 인증 수단이 요구되고, 자동이체·공공마이데이터 등 민원성 업무가 차질을 빚고 있다. 인터넷 지로, 우체국 연계금융, 배출권 거래시장 등도 행정정보 연계 여부에 따라 부분적 장애를 겪고 있다. 은행권과 금융기관들은 팝업 안내, 대체 인증수단 제공, 서류 제출 절차 안내 등으로 혼선을 최소화하고 있다.
특히 이번 사고는 최근 금융산업의 디지털 전환 가속화 추세에서, 전산시스템 일원화와 클라우드 유지관리, 백업시스템 내재화 등 첨단 IT 인프라의 중요성을 재확인시켰다. 일부 금융회사는 선신청-후요건 확인과 같은 유연한 업무 프로세스를 도입하고, 기존 업무연속성계획(BCP)을 강화하고 있다. 미국, 일본 등 금융IT 선진국에서도 유사 대란 발생 시 다계층 백업·DR(재해복구)센터 운영을 전면 적용해, 서비스 중단 피해를 최소화하는 데 집중하고 있다.
정부 당국은 심각 단계 위기경보를 발령하고, 금융위원장을 본부장으로 한 중앙사고수습본부 체제로 전환했다. 금융감독원, 한국거래소 등 관계기관과 협업을 강화하며, 혼란을 틈탄 해킹·침해사고와 보이스피싱 등 2차 피해 예방책에도 만전을 기할 것을 주문하고 있다. 아울러, 금융회사들이 소비자 보호에 앞장설 경우 불이익이 없도록 비조치의견서 발급 등 규제 유연화 방안도 적극 검토한다는 입장이다.
전문가들은 “공공 IT인프라와 금융 디지털서비스의 연계 구조가 복잡해질수록 단일 장애 지점(SPOF)에 취약해질 수 있다”며, 금융권 중심의 다층 분산전산망, 사전대응 시나리오 고도화, 복원력 강화 등이 산업안전의 핵심 조건이 될 것으로 보고 있다.
산업계는 이번 화재 사태가 금융 IT 인프라의 진단과 새로운 거버넌스 정착을 촉진할지 주목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