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호국훈련 11월로 연기”…합참, 국가급 행사·남북관계 기조 고려

최영민 기자
입력

주요 국가행사와 남북관계 기조를 둘러싼 군과 정부의 전략이 또 한 번 맞부딪쳤다. 합동참모본부가 2일 내달 예정이었던 ‘호국훈련’의 연기 결정을 발표하면서 정치적 해석이 뒤따르고 있다. 국방 현안과 외교 일정을 둘러싼 군의 신중한 행보에 시선이 쏠리고 있다.

 

합동참모본부는 이날 “2025 경주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 등 국가급 행사의 원활한 개최를 지원하기 위해, 이달 20일부터 24일까지 실시 예정이었던 ‘호국훈련’을 11월 17일부터 21일로 미룬다”고 밝혔다. 훈련 지휘 인력의 분산과 국정감사, 더불어 국제 방위산업 전시회(ADEX) 일정까지 겹치며, 군 내외로는 ‘예정대로 실시’에 무리가 있다는 우려도 작용한 것으로 보인다.

합동참모본부는 “국정감사 수감과 국제행사 등으로 훈련에 대한 지휘 노력이 분산될 수 있음을 감안했다”면서, “충분한 준비 기간을 확보해 더욱 실효적인 훈련을 진행하겠다”고 설명했다. 호국훈련은 해마다 육·해·공군 합동작전 역량을 점검하는 대규모 야외기동훈련으로, 주한미군 등 연합전력도 참여하는 규모의 훈련이다.

 

정치권 일각에서는 호국훈련 일정 조정의 배경에 이재명 정부의 ‘남북 긴장완화’와 신뢰 구축 정책 기조가 반영됐다는 분석이 제기됐다. 실제로 군은 지난 8월 ‘을지 자유의 방패(UFS)’ 한미연합훈련에서도 예정됐던 약 40건의 야외기동훈련 중 20여 건만 당초 계획대로 시행하고, 나머지 훈련은 9월로 순연한 바 있다. 이 역시 북한 반발을 의식한 신중한 대응이라는 해석이 있었다.

 

야권에서는 “성공적인 국가행사와 군사대비태세를 동시에 요구받는 상황에서 불필요한 안보 공백이 생기지 않도록 만전을 기해야 한다”는 신중론을 제기하고 있다. 반면 일부 군 안팎에서는 “북한의 눈치를 살피는 모양새로 비칠 수 있다”는 우려도 함께 제기된다.

 

향후 한반도 긴장 완화 흐름과 국제행사 대응 사이에서 군과 정부의 전략 조정이 더욱 빈번하게 이뤄질 것으로 전망된다. 합동참모본부는 “계획 변경 후에도 확고한 군사 대비태세를 유지하고 훈련 성과 제고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으며, 국방부 역시 국가 주요 행사 지원과 한미동맹 강화라는 두 축 사이에서 신중한 균형점을 모색할 것으로 예상된다.

최영민 기자
share-band
밴드
URL복사
#합동참모본부#호국훈련#이재명정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