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 전산 오늘 복구 착수”…NHN클라우드, 96개 시스템 대구로 긴급 이전
국가의 행정업무 시스템 복구에 민관 협력 클라우드(PPP) 모델이 결정적 역할을 하고 있다. 정부가 대전 국가정보자원관리원 본원에서 발생한 화재로 손실된 행정 시스템 96개를 대구 민관협력형 클라우드센터로 급히 이전하기로 하면서 NHN클라우드를 재설치 주 사업자로 낙점, 본격 복구에 돌입했다. 업계는 이번 사태를 공공 클라우드 전환 경쟁의 분기점으로 지목하고 있다.
NHN클라우드는 대구센터 클라우드 존 내에 추가 전산 공간(상면) 임대를 공식 계약하고, 신규 서버·네트워크 인프라 구축과 전기·통신공사 등 복구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정부의 하드웨어 물리 보안과 행정업무 네트워크, 인프라 기반 위에 민간 사업자가 자율적으로 클라우드 운영을 담당하는 PPP 모델 특성상, 복구 기간을 크게 단축할 수 있는 점이 장점으로 해석된다. 기존 시스템 이전·구축 대비, 클라우드 기반 복구는 다운타임과 매뉴얼적 공정을 최소화하는 데 강점이 있다.

대구센터는 지난해 개소 이후 삼성SDS, KT클라우드, NHN클라우드 등 3개 CSP가 입점해 국가정보보안 인증 상등급을 획득한 상태에서 다양한 행정 시스템을 서비스해왔다. 원래 각 업체가 3개씩 전산실 공간(컨테인먼트)을 운영해왔으나, 화재 이후 긴급 확보된 상면 2곳 모두 NHN클라우드가 추가 배정 받아 복구의 실질적 주도권을 쥐게 됐다.
복구 대상 시스템은 이달 중순부터 4주간 단계적으로 클라우드로 이전된다. 정부와 NHN클라우드는 가용성·보안성·효율성을 최우선 조건으로 협력한다는 계획이다. 이용기관 입장에서는 물리적 장애에 상시 대응가능한 클라우드상 이중화(백업) 구조가 공공 IT인프라에 본격 도입되는 계기가 될 수 있다는 분석도 나온다.
글로벌 시장에서도 재해복구(Disaster Recovery)와 클라우드 전환은 공공IT 운용의 표준이 되고 있다. 미국, 영국 등은 이미 관세청 등 주요 국가 시스템 이전을 수년 전 완료했다. 한국에서도 최근 도시·지리정보, 행정망, 공공의료 등 다수 시스템을 민간 클라우드로 이관하는 흐름이 확산 중이다.
다만 한시적 이전을 넘어 클라우드 기반 공공 IT 체계의 완전 정착을 위해서는 데이터 위탁관리 규정, 보안 인증, 즉각 복구 프로세스 마련 등 제도적 논의가 병행돼야 한다는 시각도 있다. 업계 한 전문가는 “NHN클라우드의 이번 신속 대응은 국내 공공 클라우드 생태계 성곽을 높였다는 평가를 받을 것”이라면서도 “근본적 재해복구 역량 확보와 규제 정비가 다음 과제”라고 진단했다.
공공과 민간의 기술 조합이 24시간 국민 생활과 직결된 핵심 시스템 복원에 어떤 표준을 남길지 주목된다. 산업계는 이번 모델이 전체 시장 안착 여부의 바로미터가 될 것으로 보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