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AI 실증도시 광주 만들겠다”…이재명 대통령, 6천억 투입 2단계 사업 의결
정치

“AI 실증도시 광주 만들겠다”…이재명 대통령, 6천억 투입 2단계 사업 의결

권하영 기자
입력

대통령실과 광주시가 인공지능(AI) 국가 전략사업을 두고 이례적 속도로 협력에 나섰다. 18일 정부세종청사에서 이재명 대통령 주재로 국무회의가 열렸으며, 이 자리에서 '광주 인공지능 2단계 사업(AX 실증밸리 조성사업)'이 의결됐다. 이번 결정은 첨단 3지구 등 기반시설 성과를 바탕으로 AI 윤용 사업의 전국화, 그리고 지역균형발전에 대한 이해관계가 맞물린 결과다.

 

광주시는 현재 4천300억원 규모로 지난 5년간 1단계 사업을 추진해 국가AI데이터센터, 대형 드라이빙 시뮬레이터 등 핵심 인프라를 구축했다. 2단계는 총 6천억원을 투입해 2026년부터 5년간 AI 융복합 기업 1천개를 지역에 유치하는 것이 목표다. 주요 투자 분야는 모빌리티와 에너지산업 AX(인공지능 전환)에 집중되며, 복지시설·공원·주차장 등 3천375개 공공시설을 시민 중심으로 개방한다. 동시에 48개 혁신기관이 보유한 총 3천879종의 연구장비를 기업 실증 목적으로 제공할 예정이다.

이와 별도로 광주시는 국가AI집적단지, AI규제자유특구 지정을 추진하고, 국가 AI컴퓨팅센터 유치에도 적극적으로 대응하고 있다는 계획도 내놨다. 이번 2단계 사업 추진이 완료될 경우 생산유발 9천831억원, 부가가치유발 4천942억원, 고용유발 6천281명 등 경제적 파급효과도 소개됐다.

 

정치권에서는 대규모 국책사업이 광주 지역 신성장 동력 창출에 미치는 영향을 주목하는 분위기다. 강기정 광주시장은 "1단계 사업은 대한민국에서 선도적으로 인공지능 기반시설을 쌓고 인재를 키웠던 프로젝트였다"며 "2단계 사업을 통해 AI 기술이 시민의 일상 속에서 체감되는 'AI 실증도시 광주'를 실현하겠다"고 말했다.

 

2단계 사업은 연내 국가연구개발사업평가 총괄위원회 심의를 거쳐 예비타당성(예타) 조사 면제가 확정되면, 올해 하반기 사업계획 적정성 검토를 마치고 2026년부터 본격적으로 시행될 예정이다.

 

정부는 국가 인공지능 전환을 위한 선도 모델로 광주 실증밸리를 주목하며, 향후 5년간 중장기 전략 마련과 추가 투자 검토도 이어갈 전망이다.

권하영 기자
share-band
밴드
URL복사
#이재명대통령#광주시#ai실증밸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