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0년 헌신 한순간에 간첩 몰렸다”…김용대 드론사령관, 비상계엄 수사 억울함 토로
12·3 비상계엄 관련 내란 및 외환 혐의를 둘러싼 정치적 충돌 지점에서 김용대 드론작전사령관(소장)이 특검 수사에 억울함을 호소했다. 조은석 내란특검팀이 국방부 등 24곳을 압수수색하며 관련 의혹이 확산되는 가운데, 장성 내부의 반발과 여론이 격화되고 있다.
15일 법조계에 따르면 김용대 사령관은 최근 “30여년 간 국가를 위해 헌신했는데 한순간에 간첩이 돼 억울하다”고 심경을 드러냈다. 그는 “지난해 10∼11월 평양 무인기(드론) 투입 작전과 비상계엄은 아무런 관련이 없다”며, 자신이 내란이나 외환 혐의와 무관하다는 점을 강조한 것으로 알려졌다.

앞서 조은석 특검팀은 전날 일반이적죄와 직권남용 등 혐의로 김용대 사령관 자택, 사령관실 등 여러 장소를 압수수색했다. 특검 측은 윤석열 전 대통령, 김용현 전 국방부 장관, 김용대 사령관이 공모해 군사상 이익을 해치고, 북한 도발을 명분으로 무리한 작전을 시행했다고 보고 있다. 또한 비상계엄과 관련해 국가 안보 위협과 군사 기밀 유출 가능성도 주목하고 있다.
그러나 김용대 사령관은 “비상계엄 선포 사실도 언론 뉴스를 보고 알았다”고 주장했다. 아울러 그의 측근은 “모든 관련 현장 알리바이가 있다”며 “앞으로 실체적 진실은 드러날 것”이라고 밝혔다.
정치권 일각에서는 특검 수사의 강도와 방향을 두고 국방부 안팎은 물론 보수·진보 진영 모두에서 치열한 논쟁이 벌어지고 있다. 군 내부에서는 “30년 군 경력을 한순간에 부정할 수 없다”는 동정론도 함께 부상하는 모양새다. 일부 야권 인사들은 신속하고 엄정한 수사를 촉구하는 한편, 사법적 무리수에 대한 지적도 이어지고 있다.
향후 특검팀의 추가 조치와 군 지휘부 인사 조사, 관련 법적 절차가 이어지며 정국 혼란이 장기화될 가능성도 제기된다. 정치권은 12·3 비상계엄 수사와 관련한 쟁점을 두고 여야 간 공방을 이어갈 전망이다.